•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동양사상]이황과 이이의 사상과 비교

*현*
최초 등록일
2006.03.12
최종 저작일
2005.11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성리학을 대표하는 이황과 이이의 사상의 비교를 통해
성리학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하며
조선의 대표적 학자 이황과 이이의 이념과 철학을 담았다.
다만 이들의 사상의 나열에 그치지 않고
성리학부터 이 둘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나아가 심층적인 비교로
보다 깊은 연구를 하였다.

목차

1.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1) 성리학의 전개
2) 조선의 성리학
2. 이황과 이이의 생애와 업적
1) 이황의 생애와 업적
2) 이이의 생애와 업적
3. 이황과 이이의 사상
1) 성리학의 이기론
2) 이황의 사상
3) 이이의 사상
4) 이황과 이이의 사상 비교

본문내용

2. 이황과 이이의 생애와 업적
1)이황 李滉 [1501-1570]
조선시대의 학자·문신.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 시호는 문순(文純). 본관은 진보(眞寶). 경상북도 안동 출생. 1534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고, 부정자(副正字)·공조판서·우찬성 등을 거쳐 68년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낸 이듬해 낙향하여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이언적의 주리설(主理說)을 계승, 주자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발전시켜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 주리론적 사상을 형성함으로써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이고 여기에 따른 것을 최고의 덕으로 보았다. 도산서원을 창설하여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힘썼다. 문묘와 도산서원 등, 전국의 수십 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이황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퇴계학’으로 통용될 만큼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다. 1970년 서울에 퇴계학연구원이 창립되었고, 73년 경북대학교에 퇴계학연구소가 생겼으며, 〈퇴계학보〉라는 논문집이 발간되고 있다. 저서에 <퇴계전서>, 시조 〈도산십이곡〉, 글씨 〈퇴계필적〉 등이 있다.
2)이이 李珥 [1536-1584]
조선시대의 문신·학자.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 시호는 문성(文成). 본관은 덕수.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申氏)이다. 강릉 출신이며 1564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좌랑에 초임된 이래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83년 이조판서가 되어 당쟁의 조정을 위해 진력하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서경덕의 주기설(主氣說)을 발전시켜 이기론(理氣論)을 체계화, 기호학파의 연원을 열음으로써 이황과 더불어 조선시대 유학의 쌍벽을 이루었다.
이념적이기보다는 실천적 윤리를, 인간의 본연의 성(性)보다는 기질의 성을 중요시하였다. 성리학에서의 업적뿐 아니라 동서붕당의 조정을 위하여 노력하였고 보국안민을 위한 양병론을 주장하였으며, 폐법(弊法)의 개혁을 위하여 상소를 올리는 등 노력하였다. 또 향약·사창을 장려하는 등 정치·경제·국방에도 깊은 관심과 탁월한 방책을 제시하였다. 문묘에 종사되었고, 파주의 자운서원 등 20여 개의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격몽요결>, <성학집요>,<중용토석> 등이 있다.

참고 자료

* 율곡의 연구 (김경덕, 한국 연구 도서관)
* 율곡의 이기철학 체계에 대한 연구 (김종문, 한국 철학 연구회)
* 이율곡 그 삶의 모습 (황준연, 서울대학교 출판부)
* 율곡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황의동, 서광사)
*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 남명 학파와 퇴계 학파의 사상적 특성 (경상대 남명학 연구소)
* 퇴계의 생애와 학문 (이상은, 예문서원)
* 퇴계 학파와 이 철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 퇴계 선생과 도산서원 (윤천근, 지식 산업사)
* 퇴계 학파의 사상 (금장태, 집문당)
* 퇴계의 일생과 철학체계 (유명종, 현대미학사)

자료후기(3)

*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중국철학의 정신 - 주희와 이황을 통해 본 성리학 5페이지
    중국철학사상사 , 차이나하우스, 2006 김교빈 외6명, 『함께 읽는 동양철학 ... 구분할 수 없다고 주장,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내세웠으며, 이를 다시 이이가 ... 이동희, 동아시아 주자학 비교 연구 ,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김백현,
  • 한글파일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평가계획서 12페이지
    이황이이의 심성론? ... 중 이황이이의 심성론? ... 하 이황이이의 심성론?
  • 한글파일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평가계획서 12페이지
    이황이이의 심성론? ... 중 이황이이의 심성론? ... 하 이황이이의 심성론?
  • 한글파일 한국유학-주돈이의 태극도설, 권근의 천일심성합일지도, 사단칠정논변으로 살펴본 '악' 3페이지
    , 2007 “주돈이와 권근의 천인합일사상 비교? ... , 2007 2) “주돈이와 권근의 천인합일사상 비교? ... 이후, 이황과 기대승, 덧붙여 이이의 사단칠정 논쟁을 통해 또다시 인간의
  • 한글파일 조선의 유교사상과 사회복지 6페이지
    이동인(2006)은 인권은 동양의 사회사상 속에서도 근원을 찾을 수 있다며 ... 정약용의 사회복지사상 비교연구를 통해 그들의 인간복지사상과 지역복지사상, ... 사회복지 측면을 강조했고, 이종일(2018)은 퇴계 이황·율곡 이이·다산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동양사상]이황과 이이의 사상과 비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