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비자의 경제사상

*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7.11.21
최종 저작일
2007.05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비자의 경제사상



한비자의 생애
한비자는 전국시대 한왕 안의 서자로 출생했다. 그의 어머니는 신분이 낮은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가 비록 왕족이었지만 왕실에서 대우받지 못하는 불운한 처지였다. 이 같은 불행한 소년기를 가졌기에 일찍부터 학문연구에 눈을 돌렸다 그가 태어난 한나라는 전국7웅 중의 하나로 가장 문화수준이 낮은 소국이었다. 한비(한비자의 본명)는 당대의 석학인 순자에게 배우기 위해 제나라의 수도 임치로 그를 찾아갔다. 순자는 조나라 출신으로 이곳에 와서 학자의 우두머리인 제주에 초빙되어 있었다.
한비는 순자에게서 학문을 배우는 동안 후일 진나라의 재상이 된 이사는 물론, 이

목차

한비자의 생애
법가사상
유가 대 법가
한비자의 재해석
한비자와 아담스미스
한비자와 노자

본문내용

한비자의 재해석
‘초나라에 화씨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초산에서 다듬어지지 않은 옥돌을 발견하여 그것을 여왕에게 가져다 바쳤다. 이에 여왕은 옥을 다루는 사람에게 보이니 “돌멩이입니다.” 하였다. 임금은 화씨가 자기를 속였다고 하여 화씨의 왼쪽 발뒤꿈치를 자르게 하였다. 그 뒤 여왕이 죽고 무왕이 즉위하자 화씨는 다시 그 옥돌을 무왕에게 바쳤다. 무왕이 옥을 다룬ㄴ 사람에게 보이니 다시 “돌멩이입니다.” 하였다. 무왕 또한 화씨가 자기를 속였다고 하여 화씨의 오른쪽 발뒤꿈치를 자르게 하였다. 무왕이 죽고 문왕이 즉위하자 화씨는 옥돌을 안고 초산 아래 사흘 낮밤에 걸쳐 통곡하였는데 눈물이 말라 피가 나오기에 이르렀다. 임금이 이를 듣고 사람을 시켜 묻기를 “세상에 발뒤꿈치를 잘린 사람이 많은데 그대는 왜 그리 슬피우는가?”하니 화씨가 대답하기를 “나는 발뒤꿈치를 잘린 것을 슬퍼하는 것이 아닙니다. 값진 옥을 돌멩이라 단정하고 올곧은 선비를 속이는 자라 하니 이를 슬퍼하는 것입니다.” 하였다. 이에 임금이 옥을 다루는 자에게 그 돌을 갈아 다듬게 하였는데 과연 보물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임금은 이를 ’화씨지벽‘이라 이름하였다.
-《한비자》 화씨-
옥돌을 부둥켜안고 울고 있는 것은 바로 한비자 자신의 모습일 것이다. 2200년 전의 논쟁에서 보물을 얻으려면 우선 갈고 다듬어야 한다. 옛날의 사상은 이와 같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다. 공자도 달라졌다. 근세에 들어 서구문명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유가 사상은 일대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는데, 19세기 말 중국에서 일어난 소위 변법운동은 퇴출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유가의 몸부림이었다. 변법파들은 원래의 공자와 이후 역사 속의 공자를 구분했다. 원래의 공자는 “만민의 평등을 바탕으로 민주주의를 꿈꾼자이다.”이 영향을 받아 오늘날의 유학자들은 민중을 사랑하는 마음, 즉 인을 바탕으로 하여 사람을 존중한다는 인본주의를 공자사상의 핵심으로 본다.
유가사상이 민주주의로 탈바꿈하는 동안, 법가 사상은 상대적으로 제자리에 머물러왔다. 일반적으로 한비자를 비롯한 법가는 절대군주의 통치권을 강화하기 위해 피도 눈물도 없이 형벌을 엄하게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각박한 사람들이라 여겨져왔다. 똑똑하기는 하지만, 권모술수를 능사로 여기고, 민중의 고통은 안중에도 없고, 이해관계만 따질 줄 알 뿐, 인.의.예와 같은 군자의 도리도 모르는 사람들이라고도 한다. 유학자들은 법가를 이야기할 때면 으레 법가사상을 택한 진나라가 폭정으로 단명했음을 지적한다. 심지어 “중국 고대 철학사 중의 일대 비극이며, 문화의 커다란 액운”이라고까지 한다. 한비자를 그가 살았던 시대를 묶어놓고 본다면 그렇게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
*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의 현대적 의의와 한계 6페이지
    한비자의 직업사상」, 『한국사상과 문화』 제73집, 최태응(2011). ... 그러나 역설적으로 춘추전국시대는 사회·경제적인 변화가 활발했으며, 사학(私學 ... 『한비자(e시대의 절대사상 013)』, 경기: 살림 이상수(2007).
  • 한글파일 독후감 (한비자를 읽고) 2페이지
    한비자 ; 법치로 세상을 바로 세운다.』 한비자. ... 상처받고, 쓰러져갔지만, 대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 되어 잊혀지고, 그는 경제 ... 하지만 ‘군주론’에 이어 ‘한비자’를 읽으면서 ‘과연...’
  • 워드파일 한비자 법가 사상 정리 2페이지
    한비자(韓非子)의 법가 사상 한비자(韓非子)는 순자의 제자이며 철저한 현실주의자라고 ... 한비자가 말하는 정치 사상은 순자의 성악설(性惡說)을 계승 했다. ... 또한 한비자의 견해는 마치 미래를 예견한듯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현대
  • 한글파일 서울교대 교양_동양철학과 비판정신 중간, 기말 내용 정리 20페이지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파(지배계층) -정치, 경제, 군사적인 면: 변법을 ... 기존의 문물제도를 개혁한다는 의미 실제 정치를 담당 정치제도: 군현제, 경제적인 ... *한비자 법치의 이론적 근거와 구성 요소를 설명하고, 교육적 예시를 통하여
  • 한글파일 [요약본] 한비자 16페이지
    한비자』 의 문학적 공로 2장 한비사상의 실천과 진왕조의 흥망 1. ... 한고조의 ‘약법삼장(約法三章)’부터 문제, 경제 때 국가가 잘 다스려지기까지 ... 위원이 위에서 주장한 내용과 『한비자』의 법치사상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비자의 경제사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