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건설안전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Construction Safety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2. 자격정보

□ 건설안전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건설안전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을 예측하고 재해를 예방을 위해 건설 안전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20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안전관리에 관한 산업기사 자격으로는 가스산업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소방설비(기계분야)산업기사, 소방설비(전기분야)산업기사,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가 있음.
건설 재해 예방계획 수립,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유해 위험방지 등의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관리하며 건설물이나 설비작업의 위험에 따른 응급조치, 안전장치 및 보호구의 정기점검, 정비 등의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종합건설업체 및 감리, 시공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건설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현장 안전관리자로 근무.

- 안전관리를 대행하는 협회나 업체의 컨설턴트로도 취업이 가능 가능.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정부기관이나 공기업의 안전관련 부서로 진출 가능.

- 국토해양부 기술직 공무원으로 입직하기도 함.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안전관리자의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건설업체에서 건설안전 분야의 인력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음.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일반토목, 농업토목, 건축,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자격이 주어짐.

-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건설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고,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짐.

-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4,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건설안전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관련 법령을 바탕으로 일반지식, 전문지식과 응용 및 실무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과 전문대학의 산업안전공학, 건설안전공학,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의복, 전기·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목재·가구·공예, 농림어업,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산업안전관리론
2)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3) 건설시공학
4) 건설재료학
5) 건설안전기술

- 실기

1) 건설안전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60점) + 작업형(50분, 4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10분

1 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 1. 학습지도 중 구안법(Project Method)의 4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
    계획 → 목적 → 수행 → 평가
    계획 → 수행 → 목적 → 평가
    목적 → 수행 → 계획 → 평가
    목적 → 계획 → 수행 → 평가
  •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교육 중 특별안전 · 보건교육의 대상 작업 기준으로 틀린 것은?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프레스기계를 3대 이상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1톤 미만의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5대 이상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굴착면의 높이가 2m 이상이 되는 암석의 굴착작업
    전압이 75V인 정전 및 활선작업
  • 3.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방어적 기제에 해당하는 것은?
    고립
    퇴행
    억압
    보상
  •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안전 ·보건표지의 종류로 옳은 것은?
  •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에 해당하는 방호장치는?
  • 6. 안전모에 있어 착장체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7. 리더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8.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은?
  • 9. 레윈(Lewin. K)의 B = f(P·E)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 중 틀린 것은?
  • 11. 무재해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세 기둥이 아닌 것은?
  • 12.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 아닌 것은?
  • 13. 눈으로는 작업 내용을 보고 손과 발로는 습관적으로 작업을 하고 있지만 머릿속에는 고민이나 공상으로 가득 차 있어섯 작업에 필요한 주의력이 점차 약화되고 작업자가 눈으로 보고 있는 작업 상황이 의식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 14. 재해발생의 주요원인 중 불안전한 행동이 아닌 것은?
  • 15. 사업장에서 발행한 990회 사고 중 사망재해가 3건이었다면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를 경우 경상이 예상되는 발생 건수는?
  • 16.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의 4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 17.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근로자위원 구성 기준 중 틀린 것은?
  • 18. 경보기가 울려도 전철이 오기까지 아직 시간이 있다고 스스로 판단하여 건널목을 건너다가 사고를 당한 것은 무엇에 의한 것인가?
  • 19. 강도율이 5.5이라 함은 연 근로시간 몇 시간 중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이 110일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는가?
  • 20. 맥그리거(McGregor)의 Y이론의 관리처방에 해당하는 것은?
2 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 21. 심장의 박동주기 동안 심근의 전기적 신호를 피부에 부착한 전극들로부터 측정하는 것으로 심장이 수축과 확장을 할 때, 일어나는 전기적 변동을 기록한 것은?
  • 22. 감지되는 모든 우발상황에 대하여 적절한 행동을 취하게 완전히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인간은 주로 감시, 프로그램, 정비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간-기계 체계는?
  • 23. 위험조정을 위해 필요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24. 결함수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5. 부품을 작동하는 성능이 체계의 목표달성에 긴요한 정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원칙은?
  • 26. FTA에서 사용하는 논리기회 중 3개 이상의 입력현상 중 2개가 발생할 경우 출력이 되는 것은?
  • 27. 복권추첨을 할 때 복권에 당첨되지 않을 확률과 당첨될 확률이 각각 0.9, 0.1 이라면, 정보량은 약 몇 bits 인가?
  • 28. 원자력 산업과 같이 이미 상당한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장소에서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 광범위하고 고도의 안전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 해석법은?
  • 29. 물품을 일정시간 가동시켜 결함을 찾아내고 제거하여 고장율을 안정시키는 기간은?
  • 30. 일반적을 사람의 청력으로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은?
  • 31. 가청 주파수내에세 사람의 귀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 32. 부품검사 작업자가 한 로트 당 5000 개를 검사하여 400 개의 부적합품을 검출하였다. 실제 로트 당 1000 개의 부적합품이 있었다고 가정할 때, 휴먼에러 확률(HEP)은?
  • 33.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작동시키는 경로의 집합을 시스템 신뢰도 측면에서는 무엇이라 하는가?
  • 34. 실내면의 추천반사율이 낮은 것에서부터 높은 순으로 올바르게 배열된 것은?
  • 35. 인간-기계 체계에서 시스템 활동의 흐름과정을 탐지 분석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36. 반사율이 80% 인 종이에 인쇄된 글자의 반사율이 20%라 하면, 대비는 몇 % 인가?
  • 37. 광원으로부터의 직사 휘광을 줄이기 위한 처리방법으로 틀린 것은?
  • 38. fail-safe 의 종류가 아닌 것은?
  • 39. 인체계측자료를 응용하여 제품을 설계하고자 할 때, 제품과 적용기준으로 틀린 것은?
  • 40. 조종 장치의 촉각적 암호화를 위하여 고려하는 특성이 아닌 것은?
3 과목 : 건설시공학
  • 41.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 42. 혼화재(混和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강재면에 강필로 볼트구멍 위치와 절단 개소 등을 그리는 일은?
  • 44. 연약한 점성토 지반을 굴착할 때 주로 발생하며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와 흙막이가 파괴되는 현상은?
  • 45.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AE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 46. 기성콘크리트 말뚝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7. 거푸집 공사 중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건설공사 완료 후 보수 및 재시공을 보증하기 위하여 공사발주처 등에 예치하는 공사금액의 명칭은?
  • 49. 거푸집 공상에서 거푸집 검사 시 받침기둥(지주의 안전하중)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0. 네트워크 공정표의 구성요소 중 부주공정(Semi-Critical Pat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1. 토공상의 굴착기계 용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2. 무량판구조에 사용되는 특수상자모양의 기성재 거푸집은?
  • 53.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의 철근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4. 공상에 필요한 표준시방서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 55. 공사계약서 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6. 모래의 부피증가계수(L)가 15%이고, 굴토량이 261m3라면 잔토처리량은?
  • 57. 건축생산 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8. L.W(Labiles Wasserglass)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철근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철골공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과목 : 건설재료학
  • 61. 플라스틱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2. 콘크리트ㅡ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대략 얼마 정도인가?
  • 63. 금성성형 가공제품 중 천장, 벽 등의 모르타르바름 바탕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 64.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특별히 화학처리한 것으로 킨스시멘트라고도 하는 것은?
  • 65. 수분 상승으로 인하여 큰크리트의 표면에 떠올라 얇은 피막으로 되어 침적한 물질은?
  • 66. 보통벽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7. 다음 단열재료 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68. 다음 중 천연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9. 시멘트의 안정성 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 70. 다음 중 20°C 기건상탱에서 단열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 71. 다음 중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72. 어떤 목재의 건조 전 질량이 200g, 건조 후 전건질량이 150g 일 때, 이 목재의 함수율은?
  • 73. 합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나타낸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5.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경화하는 미장재료는?
  • 76. 대리석의 성질과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7. 풍화된 세멘트를 사용했을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8. 알루미늄의 용도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 79. 마루판으로 사용할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
  • 80. 에폭시 도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과목 : 건설안전기술
  • 81. 굴착공사에서 굴착 깊이가 5m, 굴착 저면의 폭이 5m인 경우, 양단면 굴착을 할 때 굴착부상단면의 폭은? (단, 굴착면의 기울기는 1:1로 한다.)
  • 82.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3. 차량계 건설기계 중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84. 발파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발파 시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5.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콘크리트 측압은 콘크리트 타설속도, ( ), 단위용적질량, 온도, 철근배근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 86. 인력에 의한 굴착작업 시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7. 고소작업대를 설치 및 이동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8.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일정 한계 이상 감기지 않도록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는?
  • 89. 철골 작업 시 강우량에 대해 작업을 중단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 90. 파이핑(piping)현상에 의한 흙 댐(earth dam)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 중 옳지 않은 것은?
  • 91.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른 토목공사업에 해당되는 건설 건설공사현장에서 전담안전관리자 최소 1인을 두어야 하는 공사금액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92. 공사용 가설도로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최고 경사도는 얼마인가?
  • 93. 강관비계 중 단관비계의 벽이음 및 버팀 설치 시 수직 및 수평 방향 조립간격으로 옳은 것은?
  • 94. 양끝이 힌지(Hinge)인 기둥에 수직하중을 가하면 기둥이 수평방향으로 휘게 되는 현상은?
  • 95.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최소 얼마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는가?
  • 96. 토석의 붕괴 원인 중 외적 요인이 아닌 것은?
  • 9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 중 계단 형상으로 조립하는 거푸집 동바리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거푸집의 형상에 따른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깔판·깔목 등을 ( )이상 끼우지 않도록 할 것
  • 98. 철골보 인양작업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낙하물에 의한 위험의 방지를 위하여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는 경우 수평면과의 유지각도로 옳은 것은?
  • 10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