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Machinery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2. 자격정보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공조냉동기술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기술과 병합하여 활용 범위가 매우 넓고, 사용하는 공조냉동기계의 종류, 규모 및 피냉각물의 종류도 너무나 다양해서 이를 전문직으로 다룰 기술인력이 요구되므로, 냉동과 공기조화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공조냉동기계 및 설비의 기본적인 설계 및 운용을 담당할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에서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을 관리하며, 위해(危害)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규정을 시행하거나 또는 공기조화냉동설비를 설치·시공하고 관리유지 및 보수, 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로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냉난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냉동고압가스업체,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저온유통업체, 식품냉동업체 등으로 취업.

-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정밀기계제조업체, 제약회사, 검사기관,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기술인력,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냉동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등으로도 고용될 수 있음.

우대

- 공조냉동제조업체 등에서 채용 시 공조냉동기계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기계설계 관련 학과를 졸업한 경우 우대받을 수 있음.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냉동제조시설, 냉동기 제조시설 안전관리자 선임 및 전문검사기관 지정을 위한 기술 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대행기관, 근로자의 보건·안전 지정교육기관,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석유사업법에 의한 품질검사기관 지정을 받기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5.29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8.28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1.20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83,9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동관작업 + 동영상)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주어진 재료를 활용하여 도면과 같이 작품을 제작하는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냉동공조공학, 기계공학, 산업설비 등 관련 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공기조화설비
2) 냉동냉장설비
3) 공조냉동설치·운영

- 실기

1) 공조냉동기계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 [동관작업(2시간35분) + 동영상(1시간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245분

1 과목 : 공기조화
  • 1. 바닥 면적이 좁고 층고가 높은 경우에 적합한 공조기(AHU)의 형식은?
    수직형
    수평형
    복합형
    멀티존형
  • 2. 저속덕트에 비해 고속덕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동력비가 적다.
    덕트 설치 공간이 적어도 된다.
    덕트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원격지 송풍에 적당하다.
  • 3. 결로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건축 구조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수증기의 압력차가 생기면 수증기는 구조물을 통하여 흐르며, 포화온도, 포화압력 이하가 되면 응결하여 발생된다.
    결로는 습공기의 온도가 노점온도까지 강하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발생된다.
    응결이 발생되면 수증기의 압력이 상승한다.
    결로방지를 위하여 방습막을 사용한다.
  • 4. 패널복사 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 실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계획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완전히 희석하고 확산시킨 다음에 배기를 행하는 환기방식은?
  • 6. 공기설비의 열회수장치인 전열교환기는 주로 무엇을 경감시키기 위한 장치인가?
  • 7. 공기조화 방식에서 변풍량 유닛방식(VAV unit)을 풍량제어 방식에 따라 구분할 때, 공조기에서 오는 1차 공기의 분출에 의해 실내공기인 2차 공기를 취출하는 방식은 어느 것인가?
  • 8. 보일러 동체 내부의 중앙 하부에 파형노통이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이 노통의 하부 좌우에 연관들을 갖춘 보일러는?
  • 9. 물·공기 방식의 공조방식으로서 중앙기계실의 열원설비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각 실에 있는 유닛에 공급하여 냉난방하는 공조방식은?
  • 10. 공조용으로 사용되는 냉동기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1. 다익형 송풍기의 송풍기 크기(N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2. 두께 20cm의 콘크리트벽 내면에 두께 5cm의 스티로폼 단열 시공하고, 그 내면에 두께 2cm의 나무판자로 내장한 건물 벽면의 열관류율은? (단, 재료별 열전도율(kcal/m ‧ h ‧ ℃)은 콘크리트 0.7, 스티로폼 0.03, 나무판자 0.15이고, 벽면의 표면 열전달률 (kcal/m2 ‧ h ‧ ℃)은 외벽 20, 내벽 8이다.)
  • 13. 1925kg/h의 석탄을 연소하여 10550kg/h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의 효율은? (단, 석탄의 저위발열량은 25271kJ/kg, 발생증기의 엔탈피는 3717kJ/kg, 급수엔탈피는 221kJ/kg으로 한다.)
  • 14. 다음 중 냉방부하에서 현열만이 취득되는 것은?
  • 15. 냉수코일의 설계법으로 틀린 것은?
  • 16. 가습장치의 가습방식 중 수분무식이 아닌 것은?
  • 17. 일반적으로 난방부하의 발생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8. 보일러의 종류에 따른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것은?
  • 19. 겨울철 침입외기(틈새바람)에 의한 잠열부하(kcal/h)는? (단, Q는 극간풍량(m3/h)이며, to, tr은 각각 실외, 실내온도(℃), xo, xr 각각 실외, 실내 절대습도(kg/kg′)이다.)
  • 20. 시로코 팬의 회전속도가 N1에서 N2로 변화하였을 때, 송풍기의 송풍량, 전압, 소요동력의 변화 값은?
2 과목 : 냉동공학
  • 21. 증발식 응축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2. 응축기의 냉매 응축온도가 30℃, 냉각수의 입구수온이 25℃, 출구수온이 28℃일 때, 대수평균온도차(LMTD)는?
  • 23. 무기질 브라인 중에 동결점이 제일 낮은 것은?
  • 24. 카르노 사이클을 행하는 열기관에서 1사이클당 80kg ‧ m의 일량을 얻으려고 한다. 고열원의 온도(T1)를 300℃, 1사이클당 공급되는 열량을 0.5kcal라고 할 때, 저열원의 온도(T2)와 효율(η)은?
  • 25. 열의 일당량은?
  • 26. 팽창밸브 종류 중 모세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7. 냉동장치의 저압차단 스위치(LP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8. 다음 그림은 역카르노 사이클을 절대온도(T)와 엔트로피(S) 선도로 나타내었다. 면적(1-2-2′-1′)이 나타내는 것은?
  • 29. 압축냉동 사이클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고 있는 과정은?
  • 30. 스크루 압축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1.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2. 내부균압형 자동팽창밸브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 33. 압축기의 압축방식에 의한 분류 중 용적형 압축기가 아닌 것은?
  • 34. 헬라이드 토치로 누설을 탐지할 때 누설이 있는 곳에서는 토치의 불꽃색깔이 어떻게 변화되는가?
  • 35. 입형 셸 앤드 튜브식 응축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6. 냉각수 입구온도 33℃, 냉각수량 800L/min인 응축기의 냉각면적이 100m2, 그 열통과율이 750kcal/m2 ‧ h ‧℃이며, 응축온도와 냉각수온도의 평균온도 차이가 6℃일때, 냉각수의 출구온도는?
  • 37. 열펌프 장치의 응축온도 35℃, 증발온도가 -5℃일때, 성적계수는?
  • 38. 냉동장치에서 펌프다운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9. 냉매와 화학분자식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40. 열역학 제2법칙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3 과목 : 배관일반
  • 41. 방열기 주변의 신축이음으로 적당한 것은?
  • 42. 다음 중 동관이음 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 43. 하나의 장치에서 4방밸브를 조작하여 냉·난방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펌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44. 급수펌프의 설치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45. 배수 및 통기설비에서 배수 배관의 청소구 설치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6. 강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스케줄번호(Sch No)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사용압력은 P(kg/cm2), 허용응력은 S(kg/mm2)이다.)
  • 47. 다음과 같이 압축기와 응축기가 동일한 높이에 있을 때, 배관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8. 체크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9. 단열을 위한 보온재 종류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 50. 배수배관의 시공 상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51. 배관제도에서 배관의 높이 표시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2. 10kg의 쇳덩어리를 20℃에서 8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쇳덩어리의 비열은 0.61kJ/kg ‧ ℃이다.)
  • 53. 증기 수평관에서 파이프의 지름을 바꿀 때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상향구배로 가정한다.)
  • 54. 다음 중 증기와 응축수의 밀도차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식 트랩은?
  • 55. 냉매 배관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6. 증기난방에서 고압식인 경우 증기 압력은?
  • 57. 증기난방에 비해 온수난방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58. 배수관에 트랩을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 59. 배관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점의 위치에 완전히 고정하는 장치는?
  • 60. 다음 그림에서 나타낸 배관시스템 계통도는 냉방설비의 어떤 열원방식을 나타낸 것인가?
4 과목 : 전기제어공학
  • 61. 서보기구용 검출기가 아닌 것은?
  • 62. 출력의 일부를 입력으로 되돌림으로써 출력과 기준 입력과의 오차를 줄여나가도록 제어하는 제어방법은?
  • 63. 제어요소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으로 제어요소가 제어대상에게 인가하는 제어신호는?
  • 64. 다음은 자기에 관한 법칙들을 나열하였다. 다른 3개 와는 공통점이 없는 것은?
  • 65. 위치, 각도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서 목푯값의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
  • 66. 그림은 전동기 속도제어의 한 방법이다. 전동기가 최대출력을 낼 때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은 몇 rad이 되는 가?
  • 67. 전달함수 을 갖는 계에 ω=2 rad/sec인 정현파를 줄 때 이득은 약 몇 dB인가?
  • 68. L = x · y · z + x · y · z + x · y · z + x · y · z을 간단히 한 식으로 옳은 것은?
  • 69. 전력(electric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0.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에 사용할 수 없는 전력변환기는?
  • 71. 다음 중 압력을 감지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 72. 다음의 정류회로 중 리플 전압이 가장 작은 회로는? (단, 저항부하를 사용하였을 경우이다.)
  • 73. 조절부와 조작부로 구성되어 있는 피드백 제어의 구성요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 74.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려고 할 때 옳은 방법은?
  • 75. 그림과 같이 접지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R1의 접지저항(Ω)을 계산하는 식은? (단, R12=R1+R2, R23=R2+R3, R31=R3+R1이다.)
  • 76. 그림(a)의 병렬로 연결된 저항회로에서 전류 I와 I1의 관계를 그림(b)의 블록선도로 나타낼 때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
  • 77. 다음과 같이 저항이 연결된 회로의 전압 V1과 V2의 전압이 일치할 때, 회로의 합성저항은 약 몇 Ω인가?(문제 오류로 전항 정답 처리된문제입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으로 발표된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 78. 인 전압의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 79.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가 의미하는 요소는?
  • 80. 자동제어계의 구성 중 기준입력과 궤환신호와의 차를 계산해서 제어 시스템에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 내는 부분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