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건축설비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Building Facilities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건축설비산업기사, 건축설비기사

2. 자격정보

□ 건축설비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건축설비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건축물이 대규모화되고, 건축설비 부분에서 종류와 규모가 방대해지는데다, 운영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건축물에 설비하는 모든 공작물을 설계하고 시공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자동제어설비, 소방설비 등을 설치될 각 건축물의 조건에 적합하게 설계하고 시공하며, 유지·관리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일반건설회사, 전문건설회사, 종합건설회사, 감리전문회사에 취업 가능.

- 주택건설회사, 건축설계회사, 건설엔지니어링회사, 안전진단전문기관, 건설품질검사 전문기관, 측량회사, 유지관리회사, 건설교육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 건축사사무소, 기술사사무소 등의 건축관련 연구소,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건축직 공무원, 공공기관 등에 취업 가능.

우대

- 건축설비 분야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에 한해 채용하거나 채용 시 가산점을 부여하기도 하므로 건축설비산업기사 자격취득이 취업에 유리.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건축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건축설비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짐.

-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근로자의 보건, 안전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때 건축설비산업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0,8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건축, 건축공학, 건축설비, 건축설비기계공학 등 관련 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건축일반
2) 위생설비
3) 공기조화설비
4) 건축설비관계법규

- 실기

1) 건축설비설계 및 시공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건축일반
  • 1. MC(Modular Coordination)의 특징이 아닌 것은?
    설계작업이 단순화 된다.
    부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현장작업이 단순해지고 공기가 단축된다.
    보다 다양한 입면이 나타난다.
  • 2. 장소별 최적의 잔향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실의 사용목적과 실 용적에 의하여 최적의 잔향시간을 결정한다.
    강연이나 연극이 이루어지는 실에서는 잔향시간을 비교적 짧게 한다.
    음향설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잔향시간을 최적치보다 짧게 한다.
    오케스트라나 뮤지컬 등 음악감상이 이루어지는 실에서는 잔향시간을 비교적 짧게 하여 명료도를 높인다.
  • 3. 공동주택 건물의 인동간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지를 기준으로 한다.
    태양의 고도 및 일조권에 관계가 있다.
    건물의 높이와 관계가 있다.
    최소한 3시간 이상의 일조시간을 유지해야 한다.
  • 4. 호텔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 상점건축의 정면(facade)구성에서 필요한 광고 요소5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 도서관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 조명에 악센트를 주며 상품전시를 대상ㅇ로 하여 스포트라이트가 사용되는 조명은?
  • 8. 철근코크리트 구조의 철근조립 시 철근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주된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9. 합판, 각종 섬유제 보드류, 석면시멘트판, 석고판 등을 30~60cm 정도의 소형판으로 만들어 반자를 구성한 것은?
  • 10. 목구조의 계단에 설치되는 멍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목재의 집함에 있어 듀벨과 같이 사용되며 인장력에 작용하는 접합철물로 옳은 것은?
  • 12. 기초의 설치 시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3. 학교교사의 배치형식과 거리가 먼 것은?
  • 14. 사무소건축의 코어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호텔건축의 기능적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6. 화장실 및 호텔의 주방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환기방식은?
  • 17. 강구조에서 기둥과 보의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다음 반자의 분류 중 널반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9. 사무소 건축의 화장실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 주택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과목 : 위생설비
  • 21. 급수 배관에 에어챔버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 22. 건축물 지분의 수평투영 면적이 600m2인 경우, 4개의 우수수직관을 설치하고자 한다. 최대 강우량이 130mm/h일 때 우수수직관의 관경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단, 아래 표의 허용 최대 지붕면적은 강우량이 100mm/h일 경우이다.)
  • 23. 다음의 급수방식 중 일반적으로 하향급수 배관방식으로 배관하는 것은?
  • 24. 직접가열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5. 오수처리방법 중 물리적 처리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26. 다음 설명에 알맞은 통기관의 종류는?
    물림 또는 병렬로 설치한 위생기구의 기구배수관 교차점에 접속하여, 그 양쪽 기구의 트랩 봉수를 보호하는 1개의 통기관을 말한다.
  • 27. 기구배수부하단위(EFU)의 기준이 되는 기구는?
  • 28. 10℃의 물 150kg과 80℃의 물 100kg을 혼합할 경우, 혼합된 물의 온도는?
  • 29. 경질 염화 비닐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0. 다음 중 배관의 신축ㆍ팽창량을 흡수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축이음에 속하지 않는 것은?
  • 31. 옥외소화전의 설치개수가 3개인 경우, 옥외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32. 다음 중 건물의 급수량 게산에 고려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33. 간접배수에서 음료용 저수탱크의 간접배수관의 배수구 공간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34. 내경 25mm, 광길이 15m인 매끈한 관을 통하여 물을 1.5m/s의 속도로 보낼 때, 압력손실은? (단, 관마찰계수는 0.03이다.)
  • 35. 가스의 연소성을 나타내는 것은?
  • 36. 다음 설명에 알맞은 화재의 종류는?
    인화성 액체, 가연성 액체, 타르, 오일, 유성도료, 솔벤트, 래커, 알코올 및 인화성 가스와 같은 유류가 타고나서 재가 남지 않는 화재
  • 37. 배관용 동관을 M, L 및 K 타입으로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 38. 급수방식 중 고가탱크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9. 다음 중 터빈 펌프에서 안내날개를 설치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 40. 펌프설치 시 유효흡입양정을 고려하는 이유는?
3 과목 : 공기조화설비
  • 41. 다음의 습공기선도 구성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2. 다음 중 환기공간과 배출요소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43. 다음 중 냉난방 설계용 외기온도 설정 시 TAC온도를 적용하는 이유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44. 단일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5.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의 환기량이 2500m3/m인 경우, 환기에 의한 잠열부하는?
    ㉠ 실내공기상태 tr=24℃, Xr=0.012kg/kg'
    ㉡ 외기상태 t0=-5℃, X0=0.003kg/kg'
    ㉢ 0℃에서 물의 증발잠열 2501kj/kg
    ㉣ 공기의 밀도 1.2kg/m3
  • 46.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7. 송풍기의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습공기를 가열한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9. 공조기부하에 펌프 및 배관 등의 열부하를 더한 것으로서 냉동기나 보일러 용량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부하는?
  • 50. 덕트 경로 중 풍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덕트의 크기가 축소되었을 경우 압력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1. 직경이 50cm인 원형덕트에서 동압을 측정한 결과 60Pa이었다. 이 때 덕트를 통과하는 풍량은?
  • 52. 어떤 실내의 취득 현열량이 8000W, 잠열량이 2000W이다. 실내의 공기조건을 26℃, 50%RH로 유지하기 위하여 취출온도를 17℃로 송풍하고자 할 때 현열비(SHF)는?
  • 53. 길이 20m의 증기난방 배관에서 관의 온도를 30℃에서 109℃로 높였을 경우 늘어난 길이는? (단, 선팽창계수 1.3×10-5/℃이다.)
  • 54. 외기 CO2 농도는 350ppm 이며, 실내 CO2의 허용농도를 1000ppm으로 할 때, 호흡시의 1인당 CO2 배출량이 0.002m3/h일 경우 1인당 요구되는 필요 환기량은?
  • 55. 냉온수 배관의 기본회로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6. 외기온도 t0=-10℃, 실내온도 ti=20℃일 때, 벽체 면적 10m2를 통하여 손실되는 열량은? (단, 벽체의 열관류율 K=0.5W/m2ㆍK)
  • 57. 전열교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8. 공조조화기 내 냉각코일은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증기트랩 중 벨로즈식 트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밸브는?
    - 유체의 흐름 방향을 90℃로 전환시킬 수 있다.
    - 내부구조는 글로브밸브와 동일하며 유량조절용으로 사용된다.
4 과목 : 건축설비관계법규
  • 61.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 62. 건축물의 주계단ㆍ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난간 및 바닥을 이동의 이용에 안전하고 노약자 및 신체장애인의 이용에 편리한 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63. 피난 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4. 다음은 건축법상 건축허가에 관한 기준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려는 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 ) 이상의 건축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을 특별시나 광역시에 건축하려면 특별시장이나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65. 공동주택의 거실에서 채광을 위하여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거실의 용도에 따른 조도 기준 이상의 조명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 66. 다음 중 건축법령상 건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67.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 방식으로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69. 건축법령상 문화 및 집회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 70. 건축물 관련 긴축기준의 허용오차 범위가 3% 이내인 것은?
  • 71. 다음 중 방화벽의 구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2. 층수가 10층이고, 각 층의 거실면적이 1000m2인 업무시설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16인승 승강기인 경우)
  • 73. 축냉식 전기냉방설비의 설계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4. 공동 소방안전관리자 선임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층수 기준은? (단, 복합건축물의 경우)
  • 75.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안되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7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냉(난)방기간 동안 또는 연간 총 시간에 대한 온도 출현분포 중에서 가장 높은(낮은) 온도쪽으로부터 총 시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온도를 제외시키는 비율
  • 77. 다음의 소방시설 중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 78. 다음은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단, 공연장이 아닌 경우)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 면적이 ( ) 이상인 층이 있는 것
  • 79. 신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시간당 최소 몇 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80. 상업지역 및 주거지역에서 건축물에 설치하는 냉방 및 환기시설의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닫기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