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식물보호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Plant Protection
관련부처 :
농촌진흥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식물보호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

2. 자격정보

□ 식물보호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식물보호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식물의 품종이나 재배기술 등의 발전과 더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식물보호를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식물보호에 관한 기술이론 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식물 피해의 진단 및 방제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농작물의 병, 해충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농작물, 수목 등 식물의 병, 해충, 잡초를 정확히 감별하여 적용약재를 선정하는 일을 수행.
또한 재배식물에 적합한 토양의 개선, 토양 및 기후에 맞는 각종 유기물 물질을 선정하여 식물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직무를 담당.
□ 진로 및 전망
창업

- 농약사, 농약방을 창업하기 위해서는 농약판매관리인을 두어야 하고, 농약판매관리인이 되려면 식물보호(산업)기사 자격이 필요함.

취업

- 농약회사, 종묘회사, 농약판매상, 식물방역업체, 식물병원, 종자보급소 등으로 취업 가능.

- 또한 농촌진흥청, 산림청, 국립식물검역원 등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농업직렬의 일반농업, 농화학, 식품검역, 생명유전 직류, 임업직렬의 산림조경, 산림자원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자격부여

- 식물보호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수목원 전문관리인 자격이 부여되는데, 수목원 등록을 위해서는 전문관리인 1인 이상이 필요함.

- 농약관리법에 의한 농약 판매업의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용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0,8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기출문제를 참조

- 농작물 : 영상자료를 동한 농작물 피해진단, 현미경을 이용한 동정 작업, 방제 작업 평가

- 수목 : 영상자료를 동한 수목 피해진단, 외과수술 작업, 수간주사 작업, 방제 작업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원예과, 화훼원예과, 농(업)생물학과, 농화학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건설 중 토목, 조경, 도시·교통, 농림어업

시험과목

- 필기

1) 식물병리학
2) 농림해충학
3) 농약학
4) 잡초방제학

- 실기

1) 식물보호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식물병리학
  • 1. 묘목을 통해서 전반되는 병은?
    감나무 뿌리혹병
    사과나무 부란병
    포도나무 흰가루병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 2. 사과나무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지나 잎에도 발병한다.
    병든 과실은 쓴 맛이 난다.
    성숙한 과실은 상처를 통해서만 감염된다.
    과실에서는 주로 성숙기 가까이에 발병한다.
  • 3. 다음에 설명하는 용어는?
    병원성이 없거나 약한 병원체를 먼저 식물에 접종하여 병원성이 강한 같은 종류의 병원체가 침입하였을 때 피해를 경감시키는 것을 말한다.
    저항성
    감수성
    교차보호
    과민반응
  • 4. 식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진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 다음에 설명하는 식물병은?
    - 고온다습한 장마철에 잘 발생하며 잎에만 발생한다.
    - 발병 시 병반은 수침상을 띄며 잎맥에 둘러싸여 다각형을 이루는 특징이 있다.
  • 6.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은?
  • 7. 생물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 배나무 불마름병의 병원체는?
  • 10. 식물이 병원균에 대하여 저항하기 위해 분비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 11. 감자 잎말림병의 병원체는?
  • 12. 씨감자를 고랭지에서 생산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 13. 순활물기생체에 속하는 것은?
  • 14. 세균을 그램 염색에 의하여 분류할 때 양성균의 반응 색깔은?
  • 15. 식물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세 가지 주요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주로 기주의 이삭에 발병하며 병환부에서 검은 가루가 날리는 특징이 있다.
    - 병에 걸린 이삭은 건전한 이삭보다 일찍 출수하는 경향이 있다.
  • 17. 사과에 발생되는 병으로 주로 죽은 조직을 통해 감염되고 병든 부위의 껍질을 벗겨보면 알콜과 같은 냄새가 나는 병은?
  • 18. 인공배지 상에서 배양되지 않는 식물병원균은?
  • 19. 식물병과 매개충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 20. 병원체를 접종하여도 기주식물이 전혀 병에 걸리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용어는?
2 과목 : 농림해충학
  • 21. 곤충의 유효적산온도를 구하는 공식은? (단, k : 유효적산온도, x : 발육영점온도, t : 측정온도, d : 온도 t에서의 발육일수)
  • 22. 살비제는 주로 어떤 해충에 효과가 있는 약제인가?
  • 23. 벼의 잎을 엽초만 남기고 마구 먹으며 다 먹은 다음에는 다른 논으로 이동하는 해충은?
  • 24. 곤충의 입틀이 빠는 형태인 것은?
  • 25. 외국에서 우리나라로 침입한 해충이 아닌 것은?
  • 26. 천막벌레나방의 분류학적 위치는?
  • 27. 완전변태를 하는 것은?
  • 28. 경제적 피해수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9. 주로 파의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은?
  • 30. 벼멸구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1. 배추흰나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2. 구기자혹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3.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4. 곤충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5. 곤충 표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6. 거세미나방의 월동 충태는?
  • 37. 유악호르몬의 분비 기관은?
  • 38. 일반적으로 광릉긴나무좀은 1년에 몇 회 발생하는가?
  • 39. 곤충의 머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0. 사과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과목 : 농약학
  • 41. 수화제에 물을 가하여 조제한 현탁액에 있어서 고체입자가 균일하게 부유하는 성질과 그 안정성을 의미하는 것은?
  • 42. 사람이 일생을 통하여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약량을 무엇이라 하는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43. 네오아소진(Neoasoz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4. 수화제 제조용 증량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 45. 작용기작이 식물호르몬 작용 교란 제초제가 아닌 것은?
  • 46. 다음 중 유기인계 농약이 아닌 것은?
  • 47. 농약제형의 형태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 48. 농약을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 49. 각종 작물의 탄저병에 적용되는 트리할로메칠치오계 약자는?
  • 50. 농약의 명칭 중 농약개발회사의 약자 또는 약종의 상징 문자에 선택번호를 부여하여 등록되기 전에 사용되는 명칭을 무엇이라 하는가?
  • 51. 다음 중 살충·살균효과를 겸비한 약제는?
  • 52. 다음 Thiram 농약의 구조식 중 (①), (②) 속에 적당한 원소 기호는?
  • 53. 저독성의 속효성이고 잔효성이 짧아 수확직전의 농작물이나 뽕의 해충방제에 적합한 약제는?
  • 54. 착색 촉진제인 에테폰(Ethephon) 액제의 작용기작 물질은?
  • 55. 다음 중 Pyrethrin 의 효력증진제(Synergist)는?
  • 56. 식물생장 조절제인 옥신(auxin)의 범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57. 다음 농약의 약해 증상 중 급성적 약해 증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 58. 기계유 유제의 살충작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 59. 농약혼용에 따른 화학적 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0. 농약의 검사방법 중 분제의 분말도 측정은 몇 메쉬(mesh)에서 측정 검사하는가?
4 과목 : 잡초방제학
  • 61. 주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62. 페녹시계 제초제가 아닌 것은?
  • 63. 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초제의 제형으로 입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4. 잡초 종자의 모양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 65. 잡초로 인한 피해 양상이 아닌 것은?
  • 66.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7. 작물과 잡초의 경합으로 인하여 작물의 수량 또는 품질의 감소가 크기 때문에 잡초를 반드시 방제하여야 할 시기는?
  • 68. 주로 밭에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 69. 2년생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 70. 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71. 벼 재배양식 중에서 잡초 발생이 가장 많은 것은?
  • 72. 방동사니와 잡초의 형태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3. 잡초 종자가 일장에 감응하여 휴면이나 휴면타파를 하는 형태는?
  • 74. 지하경으로 번식 가능한 잡초가 아닌 것은?
  • 75. 제초제의 용탈이 가장 심한 토양은?
  • 76.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서 가장 큰 경합을 나타내는 무기원소는?
  • 77. 잡초 종자가 공간적으로 산포하기 위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8. 제초제의 선택성과 관련이 적은 것은?
  • 79. 채소밭의 잡초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0. 잡초방제법 중에서 물리적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