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태양광)
영문명 :
New and Renewable Energy Equipment Industrial Engineer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태양광),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2. 자격정보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태양광)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및 보수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1.11.23. 고용노동부령 제35호에 의해 신설되어, 2013년부터 시행됨.
□ 주요특징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기술기초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등의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및 보수와 관련된 복합적인 기초기술 및 기능업무를 수행.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설계 및 인허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작동상태를 감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업무 등을 수행.
신재생에너지설비에 대한 공학적 기초이론 및 숙련기능, 응용기술 등을 가지고 태양광발전설비를 기획, 설계, 시공, 감리, 운영, 유지 및 보수하는 업무 등을 수행.
□ 진로 및 전망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2030년까지 2,0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
특히, 바이오연료 분야에서 1,200만 개(60%), 태양광 발전 분야 630만 개(31.5%), 풍력 분야 210만 개(10.5%)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0,8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신재생에너지 등 관련 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시험과목

- 필기

1) 태양광발전시스템 이론
2) 태양광발전시스템 시공
3) 태양광발전시스템 운영
4)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규

- 실기

1) 태양광발전설비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태양광 발전 시스템 이론
  • 1. 옴의 법칙에서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저항에 반비례하고, 전압에 비례한다.
    저항에 비례하고, 전압에 반비례한다.
    저항에 비례하고, 전압에 비례한다
    저항에 반비례하고, 전압에 반비례한다.
  • 2. 수 개 또는 수십 개의 태양광발전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 납땜하는 제조 공정은?
    Lay-Up 공정
    Laminator 공정
    시뮬레이터 공정
    Tabbing &String 공정
  • 3. 태양광발전 모듈에 설치하는 바이패스 소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일반적으로 모듈 뒷면의 단자함에 설치한다.
    바이패스 소자로 대부분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고저항의 셀에 전류가 흘러 발열하게 되는 것을 방지 한다.
    바이패스 소자는 태양광 발전 모듈 내의 셀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 4. 다음 전지중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빛에너지를 직접 변환해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은?
  • 5. 태양광발전시스템 중 타 에너지원의 발전시스템과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 6. 전력변환장치(PCS)의 자동 운전 정지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7. 뇌서지 등에 의한 패해로부터 태양광발전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 8.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계통과 연계하기 위한 인버터의 인자가 아닌것은?
  • 9. 250W 태양광발전 모듈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1650㎜와 960㎜ 일 경우 변환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STC조건을 기준으로 한다)
  • 10. “임의의 폐회로에서 기전력의 총합은 저항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의 총합과 같다” 는 법칙은?
  • 11. P-N 접합에 의한 태양광발전의 진행단계가 아닌 것은?
  • 12. 태양광발전 전지의 열손실 요소가 아닌 것은?
  • 13. 실효값이 220V 인 교류전압을 1.2㏀의 저항에 인가 할 경우 소비되는 전력은 약 몇 W인가?
  • 14. 그림과 같은 태양광 인버터 회로 방식은?
  • 15. 수평측 풍력발전기로 분류되는 것은?
  • 16. 인버터의 정격효율을 계산하는 식은?
  • 17. 태양광발전 모듈의 뒷면 표시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8. n개의 태양광발전 전지를 직병렬로 접속한 경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9.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 중 방재대응형 축전지 용량 산출 시 고려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 20. 일의 단위로 틀린 것은?
2 과목 :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공
  • 21. 가공 전선로와 비교하여 지중 전선로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 2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절차로 옳은 것은?
  • 23. 감리보고와 관련하여 분기보고서는 누가 작성하여 누구에게 제출 보고하여야 하는가?
  • 24. 금속관의 굵기는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관내 단면적의 최대 몇 % 이하가 되어야 하는가? (단, 동일 굵기의 절연전선을 동일 관내에 넣는 경우이다)
  • 25. 전압 동요에 의한 플리커의 경감대책으로 전력 공급측에 실시하는 대책으로 틀린 것은?
  • 26.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출력이 500 W이하일 때 접지선의 굵기는 몇 mm2 인가?
  • 27.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지지대 부속자재의 설치 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 28. 특고압 또는 고압을 저압으로 강압하는 변압기의 저압측 전로에 실시하는 접지공사로 옳은 것은?
  • 29. 태양광발전시스템 시공 시 필요한 대형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0. 공사업자가 감리원에게 제출하는 착공신고서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31. 태양광발전 모듈 출력전압이 500 V 일 경우 인버터 외함에 시설하여야 하는 접지공사는?
  • 3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사용전 검사 시 태양광발전 전지 검사중 전지 전기적 특성시험이 아닌 것은?
  • 33.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의 송 변전설비 중 저압에서 사용되는 차단기는?
  • 34. 태양광발전시스템 시공 완료 후 검사에 필요하지 않은 장비는?
  • 35. 전력계통의 무효전력을 조정하여 전압조정 및 전력손실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한 설비는?
  • 36. 설계감리원이 설계도면의 적정성을 검토할 때 확인사항으로 틀린 것은?
  • 37.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공사감리의 법적 근거는?
  • 38.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성기기 간의 배선공사가 아닌 것은?
  • 39.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적용하는 피뢰방식이 아닌 것은?
  • 40. 태양광발전 모듈과 인버터, 인버터와 계통연계점 간의 전압강하는 각 최저 몇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3 과목 :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
  • 41. 태양광발전 모듈의 고장 원인이 아닌 것은?
  • 4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상점검 점검항목이 아닌 것은?
  • 43. 성능평가 측정 중 시엄 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항온항습장치는 태양광발전 모듈의 온도 사이클 시험, 습도-동결 시험, 고온고습 시험을 하기 위한 환경 챔버이며, KS CIEC 61215에서 규정하는 온도 ( ㉠ )이내, 습도 ( ㉡ ) 이내이어야 한다.
  • 44. 정전을 시켜놓고 무 전압 상태에서 기기의 이상(異常)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기기를 분리하여 점검을 수행해야 하는 점검은?
  • 45.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발전하지 못하거나 발전한 전력이 부하공급에 부족할 경우, 계통으로부터 부족한 전력 공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시험은?
  • 46. 태양광발전시스템 접속함에 DC 500 V 메거로 측정 시 태양광발전 전지와 접지 간 최소 절연저항 값은?
  • 47. 발전소 허가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48. 일상점검을 할 때 볼트 조임 방법이 틀린 것은?
  • 49. 태양광발전 전지의 개방전압의 측정과 관련하여 틀린 것은?
  • 50.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응급조치 순서는?
    가. 인버터 OFF 후 점검
    나. 접속함 내부 차단기 OFF
    다. 접속함 내부 차단기 ON
    라. 인버터 ON
  • 51. 태양광전지(KS C 8566:2015)에서 솔라시물레이터 측정용 분광 복사계의 파장 간격은 몇 nm 이하이어야 하는가?
  • 5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측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3.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발전 모듈 (성능) (KS C 8561:2016)에서 최대 출력 결정 시험의 품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 54. 태양광발전시스템 계측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55. 태양광발전설비 운영 매뉴얼 내용으로 틀린 것은?
  • 56.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인버터 중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시험항목이 아닌 것은?
  • 57. 의무안전인증이 필요한 보호구가 아닌 것은?
  • 58.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의거하여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안전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계측장비를 주기적으로 교정하고 안전장구의 성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권장교정 및 시험 주기가 틀린 것은?
  • 59.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사이트 평가방법으로 틀린 것은?
  • 60. 고압 활선작업 시의 안전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4 과목 : 신재생 에너지 관련 법규
  • 6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에 의거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몇 년마다 신 ·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연도별 의무공급량의 비율을 재검토하여야 하는가?
  • 6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에 의거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신 · 재생에너지의 가중치의 산정 시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
  • 63. 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에 의서 저탄소 녹색성장대책을 수립 · 시행할 때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야 하는 기관은?
  • 64. 최대 사용전압이 22.9kV인 중성선 접지식 가공전선로는 약 몇 V 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에 견지어야 하는가?
  • 65.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의거하여 발전용 출력설비 중 풍력터빈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6.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에 의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청문을 통하여 내리는 처분으로 옳은 것은?
  • 67.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에 의거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8.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거하여 ( ) 안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두 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 각 전선의 굵기는 동선 ( ㉮ )mm2 이상 또는 알루미늄 ( ㉯ )mm2 이상으로 하고, 전선은 같은 도체, 같은 재료, 같은 길이 및 같은 굵기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 69.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거하여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0.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거한 전기부식방지 시설의 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
  • 7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서 정한 온실가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 7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정의하는 “리플프리직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리플성분이 몇 % (실효값) 이하 포함한 직류를 말하는가?
  • 73. 전기사업법에서 정의하는 “전기사업”의 구분으로 틀린 것은?
  • 74.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신 ·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 보급에 관한 계획을 수립 · 시행하려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미리 누구와 협의를 하여야 하는가?
  • 75.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거하여 고압 옥측전선로의 전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76. 전기사업법에서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하여 전력수습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자는?
  • 77. 직류 750 V 이하, 교류 600 V 이하의 전압을 무엇이라 하는가?
  • 78. 전기사업법에서 대통령으로 정하는 기본계획의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중 전기설비별 용량의 몇 %의 범위에서 그 용량을 변경하는 경우를 말하는가?
  • 79.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에 따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권한을 그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임할 수 있다. 위임받을 수 있는 자가 아닌 것은?
  • 80.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거 저압연접 인입선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