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지적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Cadastral Surveying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지적기능사, 지적산업기사, 지적기사

2. 자격정보

□ 지적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지적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측판측량, 경위의 측량,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 사진측량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지적측량에 따른 지적측량계획을 수립.
지적법에 의한 토지의 재산권 행사를 목적으로 하는 지적측량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지적, 행정, 도시계획 관련 공무원이나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의 공공기관으로 취업 가능.

- 설계회사, 시스템통합(SI)회사 및 지리정보시스템(GIS)관련 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연구소, 학계 등으로도 진출 가능.

우대

- 지적분야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측지,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한국국토정보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지적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3%를 가산함.

자격부여

- 지적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8,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작업형 : 지적도면의 정리와 면적측정 및 도면작성과 지적측량, 종합적 계획수립 등의 직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의 수행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지적관련 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지적측량
2) 응용측량
3) 토지정보체계론
4) 지적학
5) 지적관계법규

- 실기

1) 기초측량 및 세부측량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3시간, 55점) + 작업형(1시간45분 정도, 45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10분

1 과목 : 지적측량
  • 1. 평판측량방법에 있어서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지상거리의 축척별 허용범위 기준은? (단, M은 축척분모를 말한다.)
  • 2. 다음 오차의 종류 중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보정할 수 있는 오차는?
    착오
    누적오차
    부정오차(우연적오차)
    정오차(계통적오차)
  • 3. 경위의측량방법과 도선법에 따른 지적도근점의 관측 시 시가지 이겨에서 수평각을 관측 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배각법
    편각법
    각관측법
    방위각법
  • 4.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광파조준의를 사용하여 방사법으로 실시할 경우 도상 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할 수 있는가?
  • 5. 지적삼각점의 연직각을 관측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교차가 몇 초 이내 일 때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하는가?
  • 6. 지적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가 서로 합의하여 따로 기간을 정하는 경우 측량기간은 전체 기간의 얼마로 하는가?
  • 7. 90g(그레이드)는 몇 도 (°) 인가?
  • 8. 도면에 등록하는 제도 폭이 다음의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9. 축척이 1/2400인 지적도면 1매를 축척이 1/1200인 지적도면으로 바꾸었을 때의 도면매수는?
  • 10. 다음은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른 지적삼각점 관측 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광파측거기는 표준편차가 ( ) 이상인 정밀측거기를 사용할 것
  • 11.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는 경우에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의 좌표에 의해 계산한 거리의 교차가 얼마 이내일 때 그 실측거리를 측량원도에 기재 하는가? (단, L은 미터단위로 표시한 실측거리이다.)
  • 12.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을 방위각법으로 할 때 2등도선의 폐색오차 허용범위는? (단, n은 폐색변을 포함한 변의 수를 말한다.)
  • 13. R=500m, 중심각(θ)이 60°인 경우 AB의 직선거리는?
  • 14. 지적측량에 사용되는 지적기준점 기호 제도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지적삼도의 축척이 600분의 1인 지역에서 분할필지의 측정면적이 135.65m2 일 경우 면적의 결정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 16. 다각망도선법에서 도선이 15개이고 교점이 6개 일 때 필요한 최소 조건식의 수는?
  • 17. 축척 1200분의 1 지역에서 평판을 구심할 경우 제도 허용 오차를 0.3mm 정도로 할때 지상의 구심오차(편심 거리)는 몇 cm 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 18.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의 관측방법을 옳지 않은 것은?
  • 19. 지적기준점성과의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20. 두 점 간의 실거리 300m를 도상에 6mm로 표시한 도면의 축척은?
2 과목 : 응용측량
  • 21. GNSS 측량에서 이동국 수신기를 설치하는 순간 그 지점의 보정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상대적인 방법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 22. 항공사진을 판독할 때 사면의 경사는 실제보다 어떻게 보이는가?
  • 23. 경사거리가 130m인 터널에서 수평각을 관측할 때 시준방향에서 직각으로 5mm의 시준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수평각 오차는?
  • 24.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간곡선의 간격은?
  • 25. 단곡선의 설치에 사용되는 명칭의 표시로 옳지 않은 것은?
  • 26. 사진의 크긱가 23cmx23cm, 초점거리 153mm, 촬영고도 750m, 사진주점기선장 10cm인 2장의 인접사진에서 관측한 굴뚝의 시차차가 7.5mm 일 때 지상에서의 실제 높이는?
  • 27. 상향경사 4%, 하향경사 4%인 종단곡선 길이(l)가 50m인 종단곡선에서 끝단의 종거(y)는? (단, 종거 )
  • 28. 그림과 같은 지형표시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29. 한 개의 깊은 수직터널에서 터널 내외를 연결하는 연결측량방법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 30. 지형측량에서 기설 삼각점만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하기에 부족할 경우 새로운 기준점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점은?
  • 31. GNSS 측량에서 제어부문의 주요 임무로 틀린 것은?
  • 32. 표고가 0m인 해변에서 눈높이 1.45m인 사람이 볼 수 있는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단, 지구반지름 R = 6370km, 굴절계수 k = 0.14)
  • 33. 수준측량의 왕복거리 2km에 대하여 허용오차가 ±3mm라면 왕복거리 4km에 대한 허용 오차는?
  • 34. 지구 곡률에 의한 오차인 구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5. 노선측량에서 일반국도를 개설하려고 한다.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 36. 단곡선 측량에서 교각이 50°, 반지름이 250m인 경우에 외할(E)은?
  • 37. 항공사진에서 나타나는 지상 기복물의 왜곡(歪曲)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8. GNSS 측량에 의한 위치결정 시 최소 4대 이상의 위성에서 동시 관측해야 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 39. 다음 중 지성선에 속하지 않는 것은?
  • 40. 사진측량에서의 사진 판독 순서로 옳은 것은?
3 과목 : 토지정보체계론
  • 41.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에서 지적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2. 벡터파일 포맷 중 DXF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지적도를 수치화하기 위한 작성과정으로 옳은 것은?
  • 44. 다음 중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 구축 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 45. 격자구조를 벡터구조로 변환할 때 격자영상에 생긴 잡음(noise)을 제거하고 외곽선을 연속적으로 이어주는 영상처리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46. 다음 중 CNS(Car Navigation System)에서 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적정보는?
  • 47. 토지정보체계의 구축에 있어 벡터 자료(vector data)를 취득하기 위한 장비로 옳은 것은?
    ㄱ. 스캐너
    ㄴ. 디지털카메라
    ㄷ. 디지타이저
    ㄹ. 전자평판
  • 48. 래스터 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9. 조직 안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 저장되어 있는 자료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 50. 다음 중 실세계에서 기호화된 지형지물의 지도를 이루는 기본적인 지형요소로 공간객체의 단위인 것은?
  • 51.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의 지적도면을 전산화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52. 다음 중 사진을 구성하는 요소로 영상에서 눈에 보이는 가장 작은 비분할 2차원적 요소는?
  • 53.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이 파일시스템에 비하여 갖는 단점은?
  • 54. 지적전산자료를 이용 또는 활용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 심사를 신청하여야 하는가?
  • 55.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적전산자료를 이용 또는 활용하는 경우의 사용료는?
  • 56. 위성영상의 기준점 자료를 이용하여 상소를 재배열하는 보간법이 아닌 것은?
  • 57. 토지 및 임야 대장에 등록하는 각 필지를 식별하기 위한 토지의 고유번호는 총 몇 자리로 구성하는가?
  • 58. 다음 중 토지정보시스템(LIS)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 59. 지번주소체계와 도로명주소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0. 위상구조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4 과목 : 지적학
  • 61. 다음 중 1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2. 토지 표시 사항 중 물권객체를 구분하여 표상(表象) 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은?
  • 63. 다음 중 지적이론의 발생설로 가장 지배적인 것으로 아래의 기록들이 근거가 되는 학설은?
    - 3세기 말 디오클레티안(Diocletian) 황제의 로마제국 토지측량
    - 모세의 탈무드법에 규정된 십일조(tithe)
    - 영국의 돔즈데이북(Domesday Book)
  • 64. 임야조사사업 당시 토지의 사정기관은?
  • 65. 경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6. 지적공부정리를 위한 토지이동의 신청을 하는 경우 지적측량을 요하지 않는 토지이동은?
  • 67. 지적소관청에서 지적공부 등본을 발급하는 것과 관계있는 지적의 기본이념은?
  • 68. 우리나라 지적제도의 원칙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 69. 지번의 부여 단위에 따른 분류 중 해당 지번설정지역의 면적이 비교적 넓고 지적도의 매수가 많을 때 흔히 채택하는 방법은?
  • 70. 토지조사사업 당시의 지목 중 비과세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1.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이론적 근거는?
  • 72. 집 울타리 안에 꽃동산이 있을 때 지목으로 옳은 것은?
  • 73. 근대적 세지적의 완성과 소유권제도의 확립을 위한 지적제도 성립의 전환점으로 평가되는 역사적인 사건은?
  • 74. 아래에서 설명하는 토렌스시스템의 기본이론은?
    토지 등록이 토지의 권리를 아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인간의 과실로 착오가 발생하는 경우에 피해를 입은 사람은 누구나 피해보상에 관한 한 법률적으로 선의의 제3자와 동등한 입장에 놓여야만 된다.
  • 75.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면적에 이동이 있을 때 지적공부의 등록 결정권자는?
  • 76. 다목적지적의 3대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77. 다음 중 일반적으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78.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에서 소유권 조사와 관계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9. 토지조사사업 당시 확정된 소유자가 다른 토지 간 사정된 경계선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 80. 지적제도의 기능 및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5 과목 : 지적관계
  • 81. 사업시행자가 토지이동에 관하여 대위신청을 할 수 있는 토지의 지목이 아닌 것은?
  • 82. 다음 축척변경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83.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령상 조정금을 받을권리나 징수할 권리를 몇 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하는가?
  • 84. 지적서고의 설치기준 등에 관한 아래 내용 중 ㉠과 ㉡에 들어갈 수치로 모두 옳은 것은?
    지적공부 보관상자는 벽으로부터 ( ㉠ ) 이상 띄어야 하며, 높이 ( ㉡ ) 이상의 깔판 위에 올려놓아야 한다.
  • 85. 지적공부의 등록을 말소시켜야 하는 경우는?
  • 86.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면적측정의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7. 토지의 분할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8.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지적측량성과의 검사항목 중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에서 공통으로 검사하는 항목은?
  • 89. 지적업무처리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이 옳지 않은 것은?
  • 90.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동·리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을 말하는 용어는?
  • 91. 지목의 구분 중 '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2.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도근점의 관측 및 계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3. 지적업무처리규정상 평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는 때에 작성하여야 할 측량기하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4.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령상 사업지구의 경미한 변경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은?
  • 95. 주된 용도의 토지에 편입하여 1필지로 할 수 있는 경우는?
  • 96. 지적전산자료를 이용·활용하고자 하는 자의 심사신청을 받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심사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7. 다음 중 지적공부의 복구에 관한 관계 자료로 옳지 않은 것은?
  • 9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 99. 축척변경위원회의 심의·의결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00. 다음 중 토지의 합병 신청을 할 수 있는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