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주택관리사보 1차(1교시)
영문명 :
Housing Manager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전문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 주택관리사보 1차(1교시) 기출문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주택관리사(보)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주택관리사(보)의 근거규정은 주택법에서 공동주택관리법으로 이관됨. (공동주택관리법 제67조)
주택관리사보와 주택관리사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음

- 주택관리사(보) : 주택관리사(보)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

- 주택관리사 : 주택관리사보 시험에 합격한 후 대통령령이 정하는 주택관리 실무경력 그 밖에 주택관련 경력을 갖춘 자로서 시, 도지사로부터 주택관리사의 자격증을 발급받은 자

□ 주요특징
공동주택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동주택 입주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운영 관리 유지 보수 등을 실시하고 이에 필요한 경비를 관리.
2020년부터 주택관리사보 자격시험 합격자 선발 방법이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변경되어, 1차 시험은 종전대로 합격자를 결정하고, 2차 시험은 선발예정인원의 범위에서 전 과목 총 득점에 의한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함.
□ 진로 및 전망
취업

- 법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공동주택의 경우 주택관리사의 채용을 의무화하고 있음.

- 아파트 단지, 빌딩의 관리소장, 공사 및 건설업체, 공동주택의 운영·관리·유지·보수 책임자로 활동.

창업

- 주택관리사(보)가 합동사무소를 설립, 행정업무, 기능업무, 보조관리업무 사원 등을 고용 위탁 관리할 수 있고, 주택관리업 개인회사도 설립해 운영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수수료

필기 : 21,000원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회계원리
2) 공동주택시설개론( (목구조·특수구조를 제외한 일반건축구조와 철골구조
3) 홈네트워크를 포함한 건축설비개론 및 장기수선계획 수립 등을 위한 건축적산을 포함)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5지 택일형 과목당 40문항(과목당 5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00분

1 과목 : 회계원리
  • 41.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납입자본
    재고자산감모손실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보고기간종료일
    투자부동산
  • 42. 다음 분개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순서대로 차변, 대변)
    매입채무 xxx, 현 금 xxx
    현 금 xxx, 이자수익 xxx
    장기차입금 xxx, 유동성장기부채 xxx
    현 금 xxx, 자본금 xxx
  • 43. 감사인과 경영자간의 의견불일치로 인한 영향이 재무제표에 매우 중요하고 전반적이어서 한정의견의 표명으로는 재무제표의 오도나 불완전성을 적절히 공시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표명하는 감사 의견은?
    특기사항기재 적정의견
    의견거절
    제한의견
    부적정의견
    불일치의견
  • 44. 재무제표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
  • 45. 자본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6. 포괄손익계산서에서 기타포괄손익의 세부항목으로 표시되는 항목은?
  • 47. 다음 오류 중에서 시산표의 작성을 통하여 발견할 수 없는 것은?
  • 48. 유형자산으로 분류되는 아파트 관리시설의 수선ㆍ유지, 교체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후속원가의 회계처리로 옳지 않은 것은?
  • 49. 다음 사항을 수정분개하였을 때 잔액시산표의 합계 금액을 변동시키지 않는 항목은?
  • 50. 현금과 관련된 내부통제절차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51.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20x2년 매출채권 평균회수 기간을 구하면? (단, 1년을 360일로 계산한다.)
    - 20×1년 외상매출액 ₩850,000
    - 20×2년 외상매출액 ₩900,000
    - 20×1년 매출채권 ₩190,000
    - 20×2년 매출채권 ₩210,000
  • 52.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상품매입과 관련된 당기현금 지급액을 계산하면?
    - 매출액 ₩500
    - 매출총이익 ₩100
    - 기초상품재고액 ₩120
    - 기말상품재고액 ₩110
    - 기초매입채무 ₩80
    - 기말매입채무 ₩120
  • 53. (주)대한의 회계담당자는 기중에 인식한 선수임대료 중에서 기간이 경과되어 실현된 금액에 대한 기말 수정분개를 하지 않았다. 이러한 오류가 (주)대한의 당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 54. 기초매출채권은 ₩90,000이고 기말매출채권은 ₩50,000이며, 기초미지급비용은 ₩60,000이고, 기말 미지급비용은 ₩70,000이다. 현금주의에 의한 수익은 ₩400,000이고 비용은 ₩250,000일 때, 발생주의에 의한 순이익은?
  • 55. (주)대한은 20x1년초에 토지(유형자산)를 ₩1,000,000에 취득한 후 매년 재평가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20x1년말과 20x2년말 토지의 공정가치가 각각 ₩800,000과 ₩1,200,000이었다면, (주)대한이 20x2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당기 손익은?
  • 56. (주)대한은 ₩4,000,000의 기계장치를 구입한 대가로 ₩1,000,000의 현금을 지급하고, 나머지 잔액은 90일 만기의 약속어음으로 지급하였다. 이러한 거래가 거래일 현재 자산, 부채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 57. 기초소모품잔액은 ₩30,000이다. 기중에 구입한 소모품 ₩100,000은 전액 비용처리하였다. 기말실사 결과 미사용소모품이 ₩20,000일 때 이를 반영하는 수정분개는? (단, 기말미사용소모품은 자산으로 인식한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58. (주)대한은 거래처로부터 20x1년 1월 1일에 만기 6개월, 액면가액 ₩10,000(이자율 연 6%, 만기지급)의 약속어음을 받았다. 3개월 후인 4월 1일 은행에서 이 약속어음을 할인(이자율 연 12%)하였다. 4월 1일 거래로 인하여 인식할 당기손익은? (단, 동 어음의 할인은 제거요건을 충족하며, 이자는 월할계산한다.)
  • 59. 다음은 (주)대한의 20x2년말 수정전시산표의 일부 이다. 비품은 20x1년초에 구입한 것이며, 정률법을 이용하여 감가상각하고 있다. 기말수정분개 후 20x2년말 비품의 장부금액은?
  • 60. A아파트 관리사무소장은 7월초 유지보수팀에 소액현금제도를 도입하였다. 소액현금한도는 ₩100,000 이며, 매월 말에 지출증빙과 사용내역을 받아 소액 현금을 보충한다. 7월 지출내역은 교통비 ₩25,000과 회식비 ₩59,000이었다. 7월말 소액현금 실사잔액은 ₩10,000이었으며, 부족분에 대해서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7월말 소액현금의 보충시점에서 적절한 분개는? (순서대로 차변, 대변
  • 61.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주)대한의 20x1년말 재무 상태표에 표시될 현금및현금성자산은?
    - 20×1년말 현재 통화는 ₩50,000이고, 우표는 ₩3,000이고, 만기가 2개월 남은 정기예금(3년만)은 ₩30,000이며, 거래처에서 받은 약속어음은 ₩25,0000이다.
    - 20×1년말 현재 은행에서 발급한 당좌예금잔액 증명서의 잔액은 ₩130,000이다.
    - (주)대한이 20×1년 12월 31일에 입금한 ₩20,000이 은행에서는 20×2년 1월 4일자로 입금처리되었다.
    - (주)대한이 발행한 수표 중에서 20×1년말 현재 은행에서 인출되지 않은 수표는 1장 (no.21, ₩30,000)이다.
    - (주)대한이 20×1년 중 발행한 수표(no.109)는 ₩10,000이였으나 회사는 이를 ₩15,000으로 기록하였다.
  • 62. (주)대한의 건설계약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대한의 20x2년도 계약손실은? (단, 진행기준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하며, 진행률은 발생한 누적계약원가를 추정총계약원가로 나누어 산정한다.)
  • 63.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는 기업이 당기 중 상품 외상매입에 대한 회계처리를 누락하였다. 기말현재동 매입채무는 아직 상환되지 않았다. 기말실지재고 조사에서는 이 상품이 포함되었다. 외상매입에 대한 회계처리 누락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자산, 부채, 자본, 당기순이익)
  • 64. (주)대한은 20x1년부터 전자제품을 판매하면서 3년간 보증수리를 무상으로 해주는데 20x1년도에 ₩250,000, 20x2년도에 ₩500,000을 보증수리비로 인식하였다. 실제 지출한 보증수리비는 20x1년도에 ₩150,000, 20x2년도에 ₩320,000이었다. 20x2년도말 제품보증충당부채 잔액은?
  • 65. (주)대한은 20x1년 1월 1일에 ₩880,000에 취득한 기계장치(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0)를 정액법에 따라 감가상각해 오던 중 20x3년 1월 1일에 잔여 내용연수를 5년으로 새롭게 추정하였다. 20x3년 12월 31일 기계장치 장부금액은?
  • 66.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추정기말상품재고액은?
    - 기초상품재고액 ₩550,000
    - 당기상품매입액 ₩2,250,000
    - 당기상품매출액 ₩3,000,000
    - 매출총이익률 30%
  • 67. (주)대한의 토지취득과 관련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의 취득원가를 계산하면?
    - 공장을 신축하기 위해 건물 한 동이 세워져 있는 토지를 취득하였다. 건물의 공정가치 ₩200,000 및 토지의 공정가치 ₩800,000에 대한 대가 ₩1,000,000를 지급하였다. 건물은 취득 즉시 철거할 예정이다.
    - 기존 건물을 철거하기 위해 ₩50,000의 비용이 지출되었다.
    - 철거된 건물에서 발생한 폐자재를 ₩20,000에 처분하였다.
  • 68.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매출액순이익률은? (단, 총자산과 총부채는 기초금액과 기말금액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 총자산 : ₩1,000,000
    - 자기자본이익률(=당기순이익/자본) : 20%
    - 총자산회전율 : 0.5
    - 부채비율(=부채/자본) : 300%
  • 69. (주)대한은 20x1년 1월 1일에 액면가액 ₩8,000,000(이자는 매년도 말에 후불로 지급)의 사채를 ₩7,400,000에 발행하였다. (주)대한은 20x1년 12월31일에 사채와 관련하여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개하였다. 이 사채의 연간 유효이자율과 표시이자율은 각각 몇 %인가?
  • 70.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매출총이익은?
    - 기초상품재고액은 ₩120,000이고, 기말상품 재고액은 ₩150,000이다.
    - 당기의 상품 총매입액은 ₩1,300,000이고 당기의 상품 총매출액은 ₩1,700,000이다.
    - 당기의 매출에누리와 환입은 ₩180,000이고, 매입 에누리와 환출은 ₩100,000이다.
    - 당기의 판매운임은 ₩30,000이고 매입운임은 ₩40,000이다.
  • 71. 다음은 현금흐름표의 일부이다.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이 ₩80,000이고, 기말 현금및 현금성자산이 ₩105,000일 때, 영업활동현금흐름은?
    1. 영업활동현금흐름 ( ? )
    2. 투자활동현금흐름 ( ₩1,214,000)
    3. 재무활동현금흐름 (₩354,000)
  • 72. 다음의 상황에서 (주)대한이 인식할 수익은?
    - (주)대한은 수탁판매업자에게 원가 ₩200,000의 상품을 적송하였다.
    - 수탁판매업자는 위 상품을 모두 판매하고 판매대금 중 판매수수료 ₩40,000을 제외한 ₩360,000을 (주)대한에게 송금하고 이를 통보하였다.
  • 73. 원가행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74. 직접원가와 간접원가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 75. A아파트는 건물의 수선ㆍ유지에 필요한 소모품을 자체생산하고 있다. 현재 필요한 수량은 월 20단위이고, 단위당 생산변동원가는 ₩100이며 고정원가는 월 ₩1,200이다. 이 소모품을 외부에서 구입하는 경우 A아파트의 생산설비를 월 ₩400에 임대할 수 있으며 A아파트의 월 고정원가는 80% 수준으로 감소한다. A아파트가 이 소모품을 외부에서 구입할 때 지급할 수 있는 단위당 최대금액은?
  • 76. A아파트는 1인당 ₩50,000의 변동원가와 ₩8,000,000의 총고정원가가 소요되는 주부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 1인당 참가비는 ₩100,000을 받는다.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구청으로부터 총 ₩2,000,000의 지원금을 받는다. 이 프로그램의 손익분기점(인원수)은?
  • 77. A아파트는 건물의 수선ㆍ유지를 위해 총구입원가가 ₩10,500인 벽돌 X를 100단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아파트에 단위당 ₩110의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총 ₩700의 배달료를 부담하여야 한다. A아파트는 벽돌 X 대신에 비슷한 벽돌 Y를 단위당 ₩106에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A아파트가 벽돌 X 또는 Y를 100단위 사용한다면, 어느 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유리한가?
  • 78. 직접재료원가의 제품단위당 표준사용량은 5kg이고, 표준가격은 kg당 ₩3이다. 4월에 직접재료 20,000kg을 총 ₩65,000에 구입하여 18,000kg을 사용하였다. 4월에 제품 3,000단위를 생산했을 때, 직접재료원가의 가격차이와 능률차이는? (단, 직접재료원가의 가격차이는 구입시점에서 계산한다.)
  • 79. A아파트 전기작업반의 월별 직접노무시간과 경비에 대한 기록이 다음과 같다. 7월의 직접노무시간은 200시간으로 예상된다. 고저점법을 적용하여 7월의 경비를 추정하면?
  • 80. A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재활용품 판매대금으로 종량제 봉투를 구입하여 주민들에게 3개월마다 나누어 주고있다. 4월부터 6월까지의 재활용품 판매대금은 ₩500,000이며 이 금액으로 7월초에 묶음당 ₩500의 종량제봉투를 80세대에 나누어 주려고 한다. 6월말에 종량제봉투 10묶음이 남아 있었고 종량제봉투를 모든 세대에 같은 묶음수로 최대한 나누어 준다면 총 몇 묶음의 종량제봉투가 남는가?
2 과목 : 공동주택시설개론
  • 81. 건물 밑바닥 전체를 일체화시키는 기초형식으로 연약지반에 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은?
  • 82. 지반조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3. 조적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4. 벽돌쌓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5. 아파트 세대간 경계벽의 최소 두께는? (단, 시멘트 모르타르, 회반죽, 석고플라스터 기타 이와 유사한 재료의 바름두께를 포함하며, 벽체구조는 철근 콘크리트조이다.)
  • 86. 철골구조의 내화피복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7.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표시기호로 옳은 것은?
  • 88. 한중콘크리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9. 콘크리트공사현장에 반입되는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0. 다음 철근콘크리트보의 단면에서 철근의 피복두께를 나타내는 것은?
  • 91. 목조지붕의 아스팔트 싱글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2. 실링방수공사에서 시공을 중지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3.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4. 다음의 용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95. 유리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6. 온수온돌공사의 마감 모르타르 바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7. 도배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8. 도장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가로(40cm)×세로(50cm)×높이(500cm)인 철근콘크 리트 기둥이 20개일 때, 기둥의 전체 중량은?
  • 100. 길이 5m, 높이 3m의 벽돌벽을 두께 1.0B로 쌓을 때, 요구되는 벽돌의 정미량은? (단, 벽돌은 표준형을 사용하며, 줄눈의 너비는 10mm로 한다.)
  • 101. 공동주택에서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2. 설비시스템의 소음방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3. 다음 중 급수설비의 오염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4. 수질 및 그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5. 급탕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6. 통기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7.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8. 배관 부속의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9. 건물에서 발생하는 오수와 하수도로 유입되는 빗물 및 지하수를 각각 구분되어 흐르게 하기 위한 시설은?
  • 110. 소화설비 중 알람밸브(alarm valve)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 설비는?
  • 111. 가스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2. 중앙집중난방과 비교하여 지역난방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3. 난방ㆍ급탕 겸용 보일러의 출력표시 중 정격출력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 114. 건물의 수변전 설비용량의 추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115.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안전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 116. 공기조화설비의 에너지절약방법에 관한 일반적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7. 리모델링하는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 환기설비를 설치할 경우, 세대당 요구되는 최소 환기횟수는?
  • 118. 히트펌프(heat pump)와 관계가 없는 용어는?
  • 119. 홈네트워크 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20.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