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2006년 이후 지방자치제도 변화의 정치적 효과 : 기존 논의의 평가와 쟁점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7.01
2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수록지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7권 / 3호
저자명 : 박재욱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대상
Ⅲ. 지방선거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Ⅳ. 지방의회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월정수당제의 도입과 의원정수의 감축
Ⅴ. 결 론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2006년 이후 지방자치제도의 변화가 가져온 정치적 효과를 지방선거제도의 변화와 지방의회제도의 변화, 두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선거구제 도입에 의해 기대 되었던 사표발생의 감소 및 대표성 제고와 관련된 기대는 낮은 투표율과 의석전환율의 왜곡현상으로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고, 소수파 진입 및 지역주의와 정당독점 완화효과도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둘째, 기초의원 비례대표제 역시 전문적 역량을 갖춘 여성의 정치참여확대와 다양한 민의를 반영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되었고, 실제로 기초의회에서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여성의원의 증가에 부분적으로 기여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비례대표 정수가 낮음으로 인해 비례대표제에 의한 여성의원의 증가는 실제적으로 높지 않았다. 셋째, 정당공천제 도입의 효과에 있어서는, 현행 선거제도상 선거에 참여한 유권자들은 개별적 선거관심과는 관계없이 모든 선거에 투표하도록 강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각급 선거의 투표율이 동일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점과 더불어 각급 선거에 있어 정당의 후보 공천과정이나 결과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정당의 책임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 지방선거제도의 변화 못지않게 지방의회제도의 변화 역시 중요하다. 특히 유급제 도입과 월정수당의 지역별 차등화는 선거구제 획정 권한의 지역결정권과 함께 차등적 분권화의 일환으로서 지방에 부여된 권한으로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후보자 수의 대폭 증가, 월정수당액 결정의 자율성 강화, 월정수당규모의 적정성, 지방의원의 전문성과 책임성 강화 등의 일정한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nalyzed political effects of local self-rule systems that had been caused since 2006 in terms of change of local electoral systems and local assembly systems. This study noted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reduction of lost votes and higher representation that were supposed to be achieved by medium-sized electoral districts were not actually achieved due to lower turnout and distorted change of assembly seats. In addition, entrance of political minority to the council were not accomplished, neither alleviation of regionalism, nor of monopoly of a single party. Second, whil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the ward assemblies were introduced to make it sure more professional women would join political arena and more diverse opinion would be represented, the number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itself was only a few, resulting in lower increase of women representatives. Third, since party nomination was introduced in this election, responsibility of parties would be more stressed in the future. Moreover, introduction of salaried assemblymen and different monthly allowance depending on regional capacity should indicate decentralization of power depending on regional capacity. In short, this study noticed increased number of candidates, self-regulated decision of monthly allowance, appropriateness of monthly allowance, professional local assemblymen, and intensified responsibility in this elec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2006년 이후 지방자치제도 변화의 정치적 효과 : 기존 논의의 평가와 쟁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