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9.07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0권 / 4호
저자명 : 이종화, 구자훈

목차

I. 서 론
II.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
III. 분석의 틀
IV. 생활권 계획의 변화 특성 분석
V. 분석의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우리나라 도시계획상의 주거지 계획은 1960년대 이후 페리의 근린주구 이론 등 서구의 주거지 구성이론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시대적 상황에 따라 계획기법과 계획요소도 변화하였다. 국내에 근린주구론과 단계구성론 등의 이론이 도입될 당시에는 양적공급과 계획기준 충족을 위한 이론의 원칙적 적용에 그쳤으나, 소득수준 향상, 이동성 증가, 주민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질적 요구, 커뮤니티 의식, 시설이용패턴의 변화 등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주거지 생활권 계획에 대한 개념도 변화하게 되었다. 계획 개념의 변화는 계획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곧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로 이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개념의 변화에 따른 과거 국내 주거지 계획의 변화 특성을 계획론적 시각에서 고찰함으로써, 발전의 흐름과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어 초록

A planned access method on constantly-changing-community unit plan changes and develops based on the periodical situation and also plan theory. In this research, it is to present the link between the theory of complex city change and the plan factor of it, and to show how Korean residential complex plan has changed as time passed and how new concept of city plan came up and by applying new methods how can this affect our real world and the past plan. Inthe phase of analysis, it analyzed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and its theory and investigated the factor of compositional space and built a analysis frame. The factors of community unit plan are space structure, size and shape of block, population, distribution of facilities and movement system. It chose the place that can represent the flow ofcommunity unit plan trand and that indicates the obvious development leading to Jamsil (1975), Gwa Chun (1980), MokDong (1983), Sang Ge (1985), Ilsan (1989), Dong tan (2001) and Eun Jung (2003) total of 7 places. And to compare a similar size of the city, it selected a small community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study and prior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composition style has change from a whole complete complex area to a linked-cross over community unit and the access of urban level was on set. Also, a pedestrian walking area was secured and the dense of building structure and pleasant environment wanting need was in balance. For facility plans, the usage of facility and functional change brought change of type, size and disposition. The walking area for pedestrian became a huge matter.Therefore, market, education, public facilities and green system collaborated to co-build a whole community unit and activated the walking environment. Also,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friendly city organization was buil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