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비판적 사고의 이론과 실제: 예비 미술교사 교육에의 적용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8.01
2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32권
저자명 : 손지현

목차

Ⅰ. 서론
Ⅱ. 미술교육의 인지적 접근과 비판적 사고
1. 미술교육의 인지적 접근
2. 삶의 경험과 미술을 연결시키는 비판적 사고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2) 미술교육과 비판적 사고
Ⅲ. 비판적 사고로 본 예비 미술교사의 시각문화
1. 시각문화와 정체성 탐구
2. 시각 문화 비평
3. 시각문화와 상호텍스트성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한국어 초록

현재 미술교육에서는 위기의 시대라고 본다. 미술에 대한 교과의 위상이 점점 무너
지고 미술이 공교육에서의 위치가 불안해지고 있는 시점이다. 미술에 대한 교과로서
의 가치와 중요성이 도외시되고 있는 이유에는 미술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다 미
술교육자 에플랜드(Efland, 2002)는 미술교육의 위상을 서구의 철학적 전통과 학교교
육의 전통 속에서 고찰하였다. 서구의 이원론적 철학은 마음을 신체에서, 인지적인 것
을 정서적인 것에서, 실제적인 것을 상상적인 것에서, 그리고 과학을 예술에서 분리시
켰다. 또한 학교 교육과정은 과학을 인지적 영역에 위치시키는 반면에, 미술을 정서적
인 영역에 분리시켜 버주류의 지위로 취급하면서 이러한 이분법을 구체화해왔다. 사
람들은 미술을 즐거움의 원천, 장식이나 아름답게 하는 역할로 이해하지만 통찰이나
지식, 이해력 등 고동 사고기능이나 인지적 특성을 가진 교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에플랜드는 이러한 관점에서 탈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미술교육에서 중요시해야 할 인지적 특성은 무엇이 있겠는가. 연구자는
미술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중요한 고등수준의 사고로 비판적 사고력을 들고 이를 어
떻게 기를 것인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비판적 사고{critical thi피?ng) 는 교육학, 철학,
심리학, 논리학, 미술교육을 비롯하여 교과 교육에 광범위하게 쓰고 있는 용어지만 쓰
고 있는 분야마다 그리고 학자마다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인다. 본고에서는 미술교육에
서 인지적 접근으로서 비판적 사고를 살펴보고 예비 미술교사의 정체성과 시각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 초록

Critical thinking is advocated by scholars and educators m most school
subjects. Cognitive approaches to art education are significant trends in recent
years. The author reviews research on what critical thinking entails and the
potential for art educators to engage students in studying visual culture including
artworks.
This paper addresses cogmtlve approaches to art education and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is defmed as 1) metacognitive
aspect to think about our thinking in order to make our thinking better, 2) critical
pedagogical aspect to think about big idea and expressive, symbolic, metaphoric
and other features of artworks and socio-cultural contexts, 3) open mind to tolerate
ambiguity, conflicts, and ill-structured problems in artworks and popular culture
images.
To help preservice art teachers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xamine their
practices of visual culture everyday, the author provides the description of a
project called "I and Visual culture". This project is to engage preservice teachers
in constructive process of examining their identity and visual culture experience.
The preservice art teachers made webbing of themselves with images and texts
related to themselves. Then, preservice teachers wrote about critical reflection of
their visual culture after reading of articles about visual culture study as critical
pedagogy. Finally, they made artworks about themselves with their visual culture.
Analysis of data provided with images and texts is to describe critical features of
the preservice art teachers' work. Ideas about identity, intertextuality, and cultural
stories of the participants a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thinking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o study visual culture is highlight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비판적 사고의 이론과 실제: 예비 미술교사 교육에의 적용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