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표준색이름 체계 개편에 따른 초·중등학교 색채 교수 · 학습 방법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8.01
6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9,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32권
저자명 : 이주연, 박명원, 고황경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의 색 체계 ? 색명법의 변천 및 현황
1. 용어의 정의
2. 우리나라 색체계 ? 색명법의 변천 및 현황
3. 우리나라의 색체계와 연관된 외국의 색 체계
4. 한국 표준색이름 체계 개편 과정 검토(2003·2005)
5. 한국 표준색이름 체계의 교육과정 수용 방향
6. 우리나라 색채교육 내용의 기초
III. 우리나라의 학교급별 미술 교과용도서 색채교육 내용 분석
1. 학교급별 미술 교과용도서 색채 용어 분석
2. 학교급별 미술 교과용도서 색채 내용 분석
기준표에 따른 색채 내용 분석
3. 학교급별 미술 교과용도서 색채 내용 및 위
계 분석
4. 초 · 중등학교 미술 교과용도서 색채 관련 내용 분석 종합
Ⅳ. 우리나라 초 ? 중등학교 학생들의 색채교육 수준 및 내용 인식 조사
1. 설문 문항 개발
2. 초·중등학생 대상 색채 인식 실태 조사 설문실시 결과
Ⅴ. 개편 색체계에 따른 교수 ? 학습 내용 및 자료 개발
1. 학교급별 색채교육 내용 위계 정립
2. 개편 색체계에 따른 학교급별 색채교육 모형
3. 학교급별 색채교육 수업안
V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한국어 초록

현대의 인간은 자연에서부터 생활공간과 제품에 이르기까지 색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색과의 관계 속에서 살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도 색채의 기능과 효과
를 이해하고 색채 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색채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미
술작품을 제작하고 감상하는 학습 이상으로 중요하다. 최근 학생들이 색채에 대한 생
각과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반면, 학교에서의 색채교육은 활용할 만한 참고 서적이나
관련 자료가 미비하고 교과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표준색이름’ 체계가 최
근에 개편되었음에도 교과서의 색채 교육 단원은 기존의 먼셀 색체계나 오스트발트
색체계를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교육 현장에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 이에 개정된 교육
과정 체계에서는 색채교육을 더욱 강조하고 색채교육 단원의 체계적인 연구로 내용의
수정 ? 보완이 필요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analyze Korean art-related textbooks for
grade 3-10(Subject: 'ART', 'ART & LIVING', 'ART THEORY') in order to
systematize its organization of the content structure of color study in preparation
for developing textbooks based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2oo7), 2) to
present the contents and directions for color study, which is adequate and proper
to the newly-notified and revised standardized KS Color System (KS A 0011)
carried out by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MOCIE), current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and 3) applicable materials(including
lesson plan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cluding ppt) for color-study
instruction.
This study included that the changes of Korean Color Systems and its
naming rules until now, and the analysis of color study in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in Korea was done, and also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G3-10 students' understanding and percetion on color system. At last,
in order for those who are in developing art textbooks to suggest a lesson
guideline for color study, 9 lesson plans based on color study were present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표준색이름 체계 개편에 따른 초·중등학교 색채 교수 · 학습 방법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