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대화’ 중심의 미술교육적 소통 구조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8.01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32권
저자명 : 박선혜

목차

Ⅰ. 서론
Ⅱ. 소통의 의미와 관점의 변화
Ⅲ. 미술교육적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소통 구조
1. 일방향 소통 구조
2. 양방향 소통 구조
3. 다방향 소통 구조
Ⅳ. ‘대화’ 중심의 미술교육 교수-학습 사례 분석: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구체적인 미술교육의 장(場)에서 ‘대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소통의
구조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통이란 대화의 기초 위에 이루어진다. 또 대화
라는 것은 ‘말하기’와 ‘듣기’가 대화자 사이에서 함께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그러므로
어떤 교수-학습의 상황에서 소통의 방향이 일방적이라는 것은 그 자체가 이미 대화
의 본질을 벗어나 있음을 뜻한다. ‘대화(dialogue)’는 그 의미상 토론이라는 용어와도
분명하게 구분된다. ‘토론(discussion)’은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각 의견
을 말하며 논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비해, 대화는 서로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
받는 것올 뜻한다. 따라서 대화라고 할 때는 적어도 미리 구성한 논리를 전개하는 것
과는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컨대 학습자들이 미리 자신의 논리를 구성할 수 있
도록 충분한 준비 시간을 주지 않은 채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토론하는 교수-학습이
란 계획에 불과할 뿐, 현실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런 연유에서 작품에 대한 학습
자의 느낌과 생각을 교수자나 다른 학습자들과 나눌 수 있도록 고안된 교수-학습 상
황에서의 언어활동은 토론이라기보다 대화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ing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Art Education especially based on the dialogue. In this study the term of dialogue
quite different with the word of discuss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learners
respect of feeling(愛) not to respect of reasoning(識) in teaching & learning
situation based on the dialogue. Current theories of art education center on a
school, so have not take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dult learner into consideration.
However in the view point of lifelong learning, there are many ar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xample museum of art, lifelong education center, culture center
and so on. In this study I attempt to surpass conventional point of views that
only place an emphasis on school student and to address any possible solutions to
lead to more open communication systems for adult learners. This study composed
of following.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communication systems into three
types. Previous studies has approached the concept of one-direction and two-directions
of communication systems. But in this study by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multy-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s. Second, this study analyze how efficiently
these systems are applied to the teaching & learning situation in art education.
espeaially deals with the lecture of the culture center. This case study also pay
attention to figure out how applied to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dult
learner. Further, I hope that this paper makes an opportunity toward exploring
diverse aspects of other communicative situations in art education for various type
of learne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대화’ 중심의 미술교육적 소통 구조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