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울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의 사회적 결속력에 관한 연구 - 단지 내 커뮤니티 활동과 주거문화 특성을 중심으로 -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4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5권 / 2호
저자명 : 서보경

목차

I. 연구의 배경과 목적
II. 저소득 커뮤니티의 사회적 결속력
III. 장기공공임대아파트 단지의 사회경제적 환경
IV. 연구방법 및 범위
V. 연구결과
VI.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20세기 후반 대도시를 중심으로 진행된 급속한 도시화는 마을 단위로 이루어져 있던 전통적인 주거공동체의 의미와 역할을 빠르게 퇴색시켰다. 이에 따라 서구의 사회학자들은 현대 사회의 도시화와 개인화 현상은 사회적 약자, 즉 소수 민족이나 장애인, 저소득층, 노인들의 사회적고립을 점차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see, for example,Durkheim, 1979). 이와 함께 1990년대 지속가능한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환경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주거공동체의 사회적 결속력(social cohesion)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Bramley & Power, 2009).주거공동체의 사회적 결속력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쟁점 중 하나는, 그것이 커뮤니티 내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캐나다, 호주, 그리고 서유럽 국가들은 이미 사회적 결속력이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활발하게 모색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정책 수단으로서사회적 결속력을 활용하기 위한 논의가 아직 미흡한 편이다.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사회 결속력의 정도를 측정한연구가 있었으나(see, for example, Cho, 2007; Kang &Hong-hyun, 2002), 그것이 어떻게 저소득 주거공동체의커뮤니티 활동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사회적 결속력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서양 국가들에서 논의된 이론들을 기초로 하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사회적 결속력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저소득 커뮤니티인 장기공공임대아파트 주민들이 형성하는 사회적 결속력의 특성을 파악하여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주거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정책적 논의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와 연계된 선행연구(Seo & Chiu, 2014)에서는 공공임대아파트 주민들의 사회결속력의 정도를 지표를 이용해 측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수치를 통해서는 파악하기 힘든 사회적 결속력의 특성, 즉 주민들의 결속력이 커뮤니티 활동에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의 사회적 결속력에 반영된 주거 문화의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 초록

In line with the previous study on the level of social cohesiveness of public rental housing communities in Seoul, this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activities as a result of community cohesiveness and identified the cultural influenceson the cohesiveness of the same case study areas. In general, there was relatively more active and voluntary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activities in the housing estates with higher social cohesiveness. The fourcommunities were active in reporting community problems to the housing managers, greatly relying on the housingmanagers to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mutual aid and community self-help were facilitated mainly through theactivities of women’s associations. However, small membership of community organisations and occasional disputesbetween the community organisations and estate managers, and among the community organisations themselves, seemedto have hamper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ocial cohesiveness in the case study areas. In terms of the culturalattributes, coexistence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consideration of neighbourliness as an ideal social norm,incorporation of the neighbourhood environment into the housing estate environment and extensive use of outdoor publicspaces were foun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서울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의 사회적 결속력에 관한 연구 - 단지 내 커뮤니티 활동과 주거문화 특성을 중심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