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0.01
6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9,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철학논집
저자명 : 박순영

목차

1. 서론 : 논의의 주제
2. 하이데거 사상의 유래에서 본 ‘존재와 무’: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부정신학과의 관련
3. 하이데거에게 끼친 동양사상(도덕경)의 영향에서의 ‘무’
4.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에서의 ‘존재와 무’5. 하이데거와 선불교에서의 ‘무’ - 동과서의 비교론에 대한 생각

한국어 초록

하이데거는 시대에 따라서 실존철학자, 해석학자, 탈형이상학의 철학자
등으로 다양하게 다가오고 있다. 특히 하이데거의 철학이 중국의 도교와
일본의 선불교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그의 철학적인 근본경험(또는 시원적인,
회고적인 사유)이 선불교의 깨달음과 비교되어지기도 한다. 이 점에서,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존재와 무’에 대한 이해가 선불교의 ‘공과 무’와 어떤
유사성과 차이성을 갖는지를 추적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나는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를 분석텍스트로 삼아
하이데거의 존재경험과 무경험을 선불교의 무개념과 서로 비교해 볼 것이다.
이 비교에서 가장 근본적인 점은 하이데거와 선불교가 서로 다른 문화적인
배경을 갖고 있다는 전제이다. 하이데거는 서양의 기독교문화, 특히 중세
독일의 부정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의 영향관계를 가정하고 있다.
이런 전제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무’를 더 잘 이해하고 또 달리 이해하는
길이 될 뿐만 아니라 이것이 하이데거를 선불교의 ‘공과 무’에서 구별시키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런 관점을 나는 근원경험의
빛에서 바라본다거나, 또는 영성의 빛에서 이해하는 방법이라고 제안하려고
한다. 이 관점은 하이데거의 사유의 근원을 신학적인 기원에서 찾아야
하는가, 아니면 신학과는 전혀 상관없는 순수 철학적인 사유에 두어야
하는가하는 끝없는 논쟁이나 불필요한 논의를 종식시킬 수 있는 이론이
되기도 할 것이다.
이런 관점(근원경험과 영성의 빛 속에서)에서 보면, 아무리 하이데거의
사유가 동양의 ‘공과 무’의 영향을 받았다거나, 둘 사이에 유사성인
확증된다고 하더라도 하이데거와 선불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이런 근본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표면적인 유사성에
착안하여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체의 비교연구들은 무의미한 연구라는
것을 이 연구에 밝히고 있다.

영어 초록

Die Philosphie Heideggers wurde je nach der Epoche so verschieden
interpretiert, wie zum Beispiel als Existenzphilosphie, Hermeneutik und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unw. Im Ostasien wird Heidegger gern taoistisch
oder zenbuddhistisch interpretiert. Der vorgelegte Aufsatz versucht eine Basis für
den philosophischen Vergleich mit der Philosophie Heideggers und Zenbuddhismus
zu schaffen. Als Anknüpfungspunkt dient dabei negative Theologie(zum Beispiel
geführt Meister Eckhart), denn in der Einsicht der Unausprechlichkeit und
Unerkennbarheit des göttlichen Wesens oder Seins und Nichts eröffnet sich eine
Zugangsweise zu den Zenbuddhismus.
Darüber hinaus bietet die Rückbesinnung auf die Tradition der negativen
Theologie der Philosophie Heideggers die Möglichkeit einer Neuinterpretation des
Textes Was ist Metaphysik? im Lichte der Spiritualität, nämlich der
Grunderfahrung(im heideggerschen Simme). Dabei hat Heidegger den Übergang
vom vorstellenden in das andenkenden oder besser ursprünglichen Denken
gefodert. So mochte Heidegger eine Erfahrung des Nichts ausfindig machen. Es ist
die Grunderfahrung des Nichts in der Angst. Für Heidegger ist das Nichts daher
nichts Abstraktes, sondern eine konkrete Erfahrung. Dann geht es weiter
Seinserfahrung. Sein und Nichts sind zusammengehörig. Hegel hatte einmal schon
diese Gleichsetzung vorgenommen, da Sein als auch Nichts beide in ihrer
Absolutheit differenzlos sind, beide Begriffe sind gleichermaßen abstrakt und leer.
Für Heidegger hingegen gehören Sein und Nichts zusammen, da beide auf den
Menschen angewiesen sind, um sich zu offenbaren: Nur der Mensch weiß, daß
Sein ist und nur er erfährt das Nichts. Wegen dieser Angewiesenheit des Nichts
auf den Menschen nennt Heidegger den Menschen auch den ‘Platzhalter des
Nichts’.
Heidegger kannte wohl die zenbuddhistische Figur der Leere(Nichts). Heidegger
verwendet die Leere zur Charakterisierung der Grundfigur seines Denken ‘Sein’.
Die zenbuddhistische Leere ist leerer als die Leere Heideggers. Man könnte auch
sagen: Die Leere des Zenbuddhismus ist ohne Seele und ohne Stimme. Sie ist eher
zerstreut als gesammelt. So ist das Nichts Heideggers ganz verschieden von der
Leere(Nichts) des Zenbuddhismu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