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간호연구계획서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서비스질과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의 관계)

tamk123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9.02
최종 저작일
2020.04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간호연구계획서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서비스질과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2) 자료수집
3) 분석방법
4) 도구사용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노인인구와 만성 질환자의 증가로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높은 간호역량을 지닌 간호 인력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1]. 간호사는 병원인력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사와 더불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인력으로[2], 병원에서는 전문적인 역량을 갖춘 간호 인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3]. 2018년 병원 간호사 협회의 병원 현황 조사에 따르면 국내 간호사 이직률은 평균 13.9%로 매우 높은 실정이다[4]. 간호사 이직은 신규 간호사 채용 및 선발 교육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 손실, 남아 있는 간호사의 업무량 증가와 사기 저하로 또 다른 간호사의 이직을 유발하는 악순환을 반복시킨다[2]. 이러한 간호사 이직의 원인은 열악한 근무환경, 조직적인 특성, 직무 불만족, 직무 스트레스 등[5] 다양하다. 그중에서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사의 소진[6] 및 이직[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근무환경을 향상 시킬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근무환경은 전문적인 간호행위를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조직적 특성들이며[7],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인 특성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8]. 간호사는 근무환경으로 인해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위해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9], 이러한 위해요인에 의한 위험관리에 있어서 의료기관은 환자를 중심으로 관리하고, 상대적으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위험관리는 다소 소홀하게 관리되어 왔다[10].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사 측면, 조직 측면, 간호 대상자인 환자와 보호자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간호사 측면에서 자신의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간호사들이 그렇지 않은 간호사들에 비해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낮고 만족도가 높으며 이직을 하려고 하는 의도가 낮다고 알려져 있다[11]. 조직 측면에서는 근무환경이 좋으면 간호사의 이직률과 결근율이 감소하므로 병원의 인력 관리에 도움을 주며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12]. 마지막으로 간호 대상자의 측면에서 간호근무환경은 환자의 경과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참고 자료

Jeon JH, Yom YH. Roles of empower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s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02-312.
Lee SY, Oh EJ, Sung KM.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168-176.
Kim JK, Kim MJ, Kim SY, Yu M, Lee KA.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69-8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2018). [Internet]. Seoul, Korea: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cited 2020 January 31]. Available from: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wr_id=8052
Kim JK, Kim MJ.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538-550.
Kim JI, Lee TW.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2):109-117.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3):176-188.
Chan AO, Huak CY. Influence of work environment on emotional health in a health care setting. Occupational Medicine. 2004;54(3):207-212.
Kim EA.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 of nursing staff. Kore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4):275-284.
Cho GL.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mpliance about standard precautions among ICU and ER nurses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07. p.1-52.
Lee MH, Kim JK.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3;19(4):470-479.
Jung HJ, Kang JY. Critical car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family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4;7(2):58-67.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Lake ET, Cheney T.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5):223-229.
Kutney LA, McHugh MD, Sloane DM, Cimiotti JP, Flynn L, Neff DF. Nursing: a key to patient satisfaction. Health Affairs. 2009;28(4):669-677.
Lim JY. A study on the nursing service image in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1998.
Chae GS. A study on the positioning of nursing servic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6.
Lee MA. A study of nursing services quality, general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and revisiting intent of hospital. J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62-372.
Lee SA. The relationships among patient`s perception, patient`s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quality and revisiting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8;4(2):307-319.
Yoo DK. A study on qulity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for medical service marke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6;2(1):97-114
Lee MA. A study of the perception gap on nursing service between consumers and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5):871-884.
Park SH, Kang J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nersing work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5;8(1):50-61.
Ju MK.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onsumer-oriented nursing service q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1):169-191.
Seo MS. A study on the expectations of inpatients for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hospital reus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Lim HG. A study on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es and nursing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80.
Kang IW. A study on the patient satisfaction for nursing care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7;3(2):137-150.
tamk123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간호연구계획서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간호사의 서비스질과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의 관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