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아동간호학, 호흡관리 간호 자료

지즈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2.19
최종 저작일
2020.05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아동간호중재 중 호흡관리에 관한 자료입니다

과제하시는데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목차

Ⅰ. 흡입요법(Inhalation therapy)
1. 산소요법(oxygen therapy)
2. 산소요법 모니터링

Ⅱ. 호기말 이산화탄소 감시(end-tidal carbon dioxide monitoring, ETCO2)

Ⅲ. 기관지(체액)배액(bronchial or postural drainage)
1. 적응증
2. 방법
3. 특징

Ⅳ. 흉부물리요법(chest physical therapy, CPT)

Ⅴ. 기관삽관
1. 신속하고 연속적인 기도삽관(rapid sequence intubation, RSI)
2. 기관내관의 위치를 확증할 방법 (하나 이상의 임상 증상 + 하나 이상의 확증할 방법)

Ⅵ. 기계적 환기 (mechanical ventilation)
1. 정의
2. 적응증
3. 종류
4. 간호

Ⅶ. 기관절개술
1. 정의
2. 간호 초점
3. 흡인
4. 간호
5. 튜브 제거

Ⅷ. 흉관절차
1. 목적
2. 적응증
3. 흉관 삽입 전 간호
4. 흉관 삽입 후 간호
5. 일회용 흉부 배액 시스템
6. 흉관제거

Ⅸ. 인공호흡기
1. 비침습적 양압 환기(NPPV :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2. 조절강제환기(CMV :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3. 보조조절환기(ACMV : assisted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4. 간헐적동조강제환기(SIMV: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5. 압력보조환기(PSV :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6. 고빈도 환기장치

본문내용

Ⅰ. 흡입요법(Inhalation therapy)
1. 산소요법(oxygen therapy)
저산소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산소요법을 제공한다. 산소가 건조하기 때문에 습도 제공이 필요하다. 마스크, 비강캐뉼라, 안면텐트(face tent), 후드, 안면마스크 또는 인공호흡기 등으로 산소를 제공하며 필요한 산소농도 및 아동의 협조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① 보육기(incubator)
신생아에게 사용하고 보육기 내 산소농도는 약 40%이다.

② 플라스틱 후드(plastic hood):
스스로 숨을 쉴 수 있지만, 여분의 산소가 필요한 영아에게 사용하며, 머리 위에 있는 후드의 내부에 따뜻하고 습화된 산소가 고농도로 제공된다. 최소 4~5L/min을 제공하며 산소농도 유지와 호기 시의 CO₂ 제거를 위함이다.
영아 얼굴에 습화된 산소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하고 후드는 영아의 목, 뺨 또는 어깨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③ 비강 캐뉼러나 프롱(nasal cannula or prong)
큰 아동이나 협조가 가능한 영아에게 사용하며 50%의 산소농도를 공급한다.

④ 고유량 비강 캐뉼라
소아용 튜브로 5~8L/min으로 산소를 제공하고 삽관이 어려울 때, 발관 후, 완화 치료 시, 극소저체중출생아의 환기 보조 시 사용한다.

<중 략>

Ⅱ. 호기말 이산화탄소 감시(end-tidal carbon dioxide monitoring, ETCO2)
호기 시 배출되는 CO2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환기기전에 민감해 과소환기, 무호흡 혹은 기도폐쇄를 조기에 감지하므로 저산소증을 예방할 수 있다. 소아 환자는 예비능력이 적고 저산소증이 급격하게 악화될 수 있어서 ETCO2 모니터링을 통해 저산소증이 나타나기 전에 호흡의 문제나 무호흡 등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천식 악화를 경험하고 있거나 진정제 처방을 받는 아동 혹은 기계적 환기를 하는 아동은 ETCO2 모니터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Oxygen therapy in infants.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7242.htm
RADIOMETERⓇ.
https://www.radiometer.com/en/products/transcutaneous-monitoring/tcm5-flex-monitor
Selby, S. T., Abramo, T., & Hobart-Porter, N. (2018). An update on end-tidal CO2 monitoring. Pediatric Emergency Care, 34(12), 888-892.
김미예 외 공저(2015), 아동간호학(각론), 수문사, p849-855
김영혜 외 공저(2018),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p377.
김영혜 외 편역(2018),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p185-188, 194-196, 254-257, 267
김은지, 김혜숙, 허만희, 이상길(2002), 『중등도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폐 표면 활성제
조기 투여 후 Nasal CPAP의 치료 효과』, 『대한소화과학회』, 45(10), 1204-1212.
김희숙 외 편역 (2003). 아동간호학 II. 군자출판사, p711
김희순 외 (2009). 아동건강간호학 II. 수문사. p766-769
대한소아응급의학회 김애리(2019), An Update on End-Tidal CO2 Monitoring
https://www.kspem.org:4452/bbs/index.html?code=thesis&category=&gubun=&page=1&number=190&mode=view&keyfield=&key=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호흡물리요법”, https://www.youtube.com/watch?v=QcWCvdYMRYs&feature=share, (2020.10.04.)
마홍임(2005), 기관지 폐 이형성증 환아 부모 교육자료 개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박준동(2005), 『소아의 기계적 환기요법』, 『소아청소년과학』, 48(12), 1310-1316
보건복지부; 흉관 삽관술 후 흉관 및 배액병 관리 안내
서지영(2002), 『기계환기의 실제: 급성호흡부전에서의 비침습적 양압환기의 임상적 응용』, 『대
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5, 8-15
설영미 외 11명(2006), 『호흡부전 환자에서 비침습적 양압환기법의 적용』, 『대한결핵 및 호흡
기학회』, 61(1), 26-33
세브란스병원; 흉관 삽입과 관리
송경애 외 공저 (2020). 최신 기본간호학 II. 수문사. p494-497
송지호 외 편역 (2009). 원리와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하권). 현문사. p230-234
엘스비어 널싱스킬, https://www.nursingskills.kr/, (2020.10.04.)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690-693
전성숙 외(2012),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에서 고빈도 흉벽진동요법과 손 타진법의 효과 비교, 글로벌 건강과 간호, 2(2)
정유삼(2008), 『양압치료법』, 『임상이비인후과』, 19(2), 154-159.
조결자 외 편저 (2005). 아동간호학 II. 현문사. p27-34
최승준, 윤희수, 윤종서(2014), 『소아청소년 호흡곤란』, 『대한의사협회지』, 57(8), 685-692.
헬스브리즈, “소아환자의 흉부물리요법 안내”, https://www.youtube.com/watch?v=gfkh70Y87os, (2020.10.04.)
홍석경(2012), 『환기방식의 이해』, 『대한외과학회』, 2(2), 39-43.
지즈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아동간호학, 호흡관리 간호 자료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