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검색엔진] 멀티미디어 검색엔진과 미래의 검색엔진

*기*
최초 등록일
2005.09.15
최종 저작일
2005.05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숭실대학교 미디어학부 정보검색이란 과목에 쓴 파이널 레프트로 멀티미디어 검색엔진과 미래의 검색엔진이란 주제로 레프트를 쓴것입니다. 논문구입비용만 2만원을쓸정도로 손이많이간 레포트입니다.

목차

0. 프롤로그
1. 검색엔진의 기본개념
2. 멀티미디어 검색엔진
1).이미지검색
2).동영상검색
3).음악검색
3. 멀티미디어 검색사이트
1).스트림세이지
2).싱잉피쉬
3).야후
4).구글
4. 미래의 검색엔진
5. 결론

본문내용

0.프롤로그

1969년 미 국방성에서 계획한 알파넷이 시작할 때 과연 알파넷이 세상을 이렇게 달라지게 할지 아무도 생각을 못했을 것이다.
단편적인 예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게이츠 또한 90년대 초반에 인터넷 시장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봤었다.
하지만 이제 전 세계 네티즌 수는 10억여 명 인터넷 연결 되어있는 PC수는3090만대, 웹 사이트 수는 60만개에 달한다.
우리는 인터넷과 함께 살고 있고 인터넷이 없으면 살지 못하는 시대가 되어버린 것이다.
현재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그중 가장 커다란 이유는 인터넷의 발달과 검색엔진의 발전일 것이다. 인터넷에는 엄청난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무한한 공간으로 존재하고 있다. 일반 적인 텍스트문서, 그림, 소리, 영상까지 각종 데이터들이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있다. 검색엔진이란 이러한 공간에 있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저장한 다음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인 것이다.
이러한 검색엔진은 초창기에는 단순한 디렉터리 방식의 검색방식에서 이제는 동영상 검색까지 기술적인 발전은 계속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검색엔진의 이야기와 사운드검색엔진에 대해서도 이야기 할 것이다.
과거의 단순한 디렉터리와 키워드 검색방식에서 야후와 알타비스타, 라이코스 와 같은 유명한 검색사이트들이 나왔었다. 하지만 시간은 흘러 현재의 검색시장은 구글과 네이버와 같은 검색사이트들이 검색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미래 검색엔진은 현재와 같은 빠른 기술의 발전으로 과연 미래의 검색시장에는 어떤 기술이 쓰일 것에 관한 주제에 관해서 이야기를 다루려고 한다.

참고 자료

[1] 김문화원, “인터넷 검색 방법론 ” 2002.
[2]이란주, 최경화, "국내 웹검색도구의 특성 및 탐색 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 헌정보학회지 31(3): 75-108, 1997년.
[3]윤성희 “이미지 검색을 위한 내용 기반 및 설명 문서 기반 검색엔진“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200.
[4] S. Mehrotra, Y. Rui, M. Ortega-Binderberg er andT. S. Huang, "gSupporting Content-Based Queriesover Images in MARS"h, Proc. IEEE Int'l Conf. on Multimedia Computing and Systems. pp.632-633,June, 1997.
[5] M. Thomas, C. Carson and J. M. Hellerstein,"gCreating a Customized Acces Method for Blobworld"h,Proc.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Engineering, pp.82-82, 2000.
[6] Pentland, R. W. Picard and S. Scarlo, "gPhotobook: Tools for Content-Baesd Manipulation of image Databases"h, Proc. SPIE on Storage and Retrieval for Image and Video Databases Vol.2, Issue 185, pp.34-47, 1999.
[7] Overview of the MPEG-7 Standard.“http://mpeg.telecomitalialab.com/
standards/mpeg-7/mpeg-7.html”, 11 2002.
[8] Harald Kosch, “Distributed multimedia database technologies supported MPEG-7 and by MPEG-7”, CRCPRESS.
[9] 노승민, 황인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스키마 설계 및 시스템 구현”,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30권 5호, 2004년.
[10] 고영만 ,김소형, “영상정보 메타데이터 요소 표준개발을 위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문헌정 보학과, 2003년.
[11] 배빛나라, 이재욱, 노용만, “DCT 계수를 이용한MPEG-7 컬러 기술자의 고속 추출”, 한국 멀티미디어학회 추계 학술대회, Vol. 5, No.2, pp.254-257, 2002년.
[12] 곽길신,주경수 “MPEG-7 기반의 영상정보 검색시스템설계 및 구현” 2005년,한국정보학회론문지 제10권제1호,2005년.
[13] 노승민, 황인준 “멀티미디어 검색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Vol.30, 2003년.
[14] A. Ghias, et al., "Query by humming - musical information retrieval in an audio database," In ACM Multimedia 95 -Electronic Proceedings, San Francisco, USA, 1995.
[15] R.J. McNab, et al., "The New Zealand digital library MELody index," D-Lib Magazine, May 1997.
[16]노승민 황인준 "음악 컨텐츠를 위한 빠른 검색 기법" 아주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논문, 2002/
*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검색엔진] 멀티미디어 검색엔진과 미래의 검색엔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