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산림기사
영문명 :
Engineer Forest
관련부처 :
산림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산림기능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사

2. 자격정보

□ 산림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림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산림의 공학적 분야를 총괄적으로 이해한 산림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05년부터 '산림경영기사'와 '산림공학기사'가 '산림기사'로 통합됨.
□ 주요특징
산림과 관련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영림계획편성, 경영분석, 산림휴양시설의 설계 및 관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및 산림실무의 사방설계 및 시공, 임도설계, 시공 임업기계 비용, 기술 등의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산림청, 임업연구원, 각 시·도 산림부서, 임업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임업연구 원 등에 진출 가능.

-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와 임업직렬과 환경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산림청장은 임업분야 기능인의 취업알선과 고용안정을 위하여 임업분야 기능인에게 영림단을 조직하게 하여 간벌 사업, 산림 병해충 방제사업 등을 도급사업으로 하게 할 수 있는데, 산림기능사 이상의 자격증 소지자가 필요함.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8,3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산림조사, 산림경영계획 작성, 수종 식별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임학과, 산림자원학과 등 산림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중 환경

시험과목

- 필기

1) 조림학
2) 산림보호학
3) 임업경영학
4) 임도공학
5) 사방공학

- 실기

1) 산림경영 계획편성 및 산림토목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50점) + 작업형(2시간30분, 5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40분

1 과목 : 조림학
  • 1. 발아율이 85%이고 발아세가 80%인 종자의 경우 발아율에서 발아세를 뺀 값인 5%의 종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발아가 빠르게 되는 종자이다.
    불량묘가 될 가능성이 높은 종자이다.
    묘포에 파종할 때 발아가 되지 않는 종자이다.
    종자를 채취할 때 섞여 들어간 다른 수종의 종자이다.
  • 2. 산림 갱신 방법 중 예비벌, 하종벌, 후벌 단계를 거치는 작업종은?
    개벌작업
    택벌작업
    모수작업
    산벌작업
  • 3. 침엽수의 가지치기 작업방법으로 옳은 것은?
    으뜸가지 이상의 가지를 친다.
    줄기와 직각이 되도록 잘라낸다.
    생장 휴지기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초두부까지 가지를 쳐내어 통직한 간재를 생산하도록 한다.
  • 4. 산림 생태적인 면에서 환경친화적인 작업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 회귀년을 고려하여야 할 작업종은?
  • 6. 일반 공기 중에는 약 78%가 질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식물이 이를 직접 이용하기는 어렵다. 식물이 질소를 이용 가능한 형태로 바꾸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7. 극양수에 해당하는 수종은?
  • 8. 인공림 침엽수의 수형목 지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 묘포 입지선정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10. 식생조사에서 빈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난대 수종으로 일반적으로 온대 중부 이북에서 조림하기 어려운 수종은?
  • 12. 숲가꾸기 품셈에는 수종별, 흉고직경벌 간벌 후 입목본수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흉고직경이 20cm인 경우에 간벌 후 ha당 입목본수가 가장 적은 수종은?
  • 13. 식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4.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 무기양분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수목은?
  • 15. 개화 후 다음 해 10월 경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은?
  • 16. 잣나무 성목을 대상으로 실시한 가지치기 작업이 임목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잣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임목의 개화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적은 것은?
  • 19. 노지에서 1년생으로 상체하는 것이 적합한 수종은?
  • 20.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소나무 종자를 산파하려 할 때 파종량은?
    - 파종상의 면적 : 10m2
    - 가을이 되어 세워둘 묘목 수 : 500본/m2
    - 종자립수 : 10,000개/L
    - 순량률 : 80%
    - 종자발아율 : 50%
    - 묘목잔존율 : 50%
2 과목 : 산림보호학
  • 21. 밤나무 줄기마름병 방제법으로 올지 않은 것은?
  • 22. 거미의 외부 형태를 구분한 것으로 올은 것은?
  • 23. 피소(볕데기) 현상이 가장 잘 발생하는 것은?
  • 24. 희석하여 살포하는 약제가 아닌 것은?
  • 25. 파이토플라스마를 매개하는 해충은?
  • 26. 담자균류에서 발생되지 않은 포자는?
  • 27. 흡즙성 해충에 속하는 것은?
  • 28. 소나무와 참나무류에 군집하여 생활하는 조류가 산성을 띤 배설물에 의해 임목을 고사시키는 것은?
  • 29. 소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0. 암컷만으로 생식이 가능한 해충은?
  • 31. 곤충의 완전변태에 해당하는 것은?
  • 32. 약제를 식물체의 줄기, 잎 등에 살포하여 부착시켜 식엽성 해충이 먹이와 함께 약제를 섭취하여 독작용을 일으키는 살충제는?
  • 33. 잣나무 털녹병균의 침입부위와 시기가 맞는 것은?
  • 34. 수목병의 발생원인 중 주인에 해당하는 것은?
  • 35. 토양에 의해 전염을 하지 않는 것은?
  • 36. 북미가 원산지이며 연 2회 이상 발생하고 100여종의 활엽수를 가해하며 번데기로 월동하는 해충은?
  • 37. 방화선 설치 위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 38. 다음 수목병 중에서 병원균의 유형이 다른 것은?
  • 39. 유충이 소나무나 곰솔의 엽초에 쌓인 두 침엽 접합 부위에 혹을 만들어 나무 생육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 40. 병에 의해 식물체 조직 변화로 외관의 이상을 나타내는 것은?
3 과목 : 임업경영학
  • 41. 작업급의 영급 관계가 편중되어 노령림이 너무 많거나 유령림이 너무 많을 때 윤벌기로 구한 연벌량에서 오는 불이익을 적게 하여 수확량을 대략 균등하게 지속시키기 위해서 채택하는 생산기간은?
  • 42. 임업경영은 목적에 따라 종속적, 부차적, 주업적 임업경영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종속적 임업경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다음 보기의 조건을 활용한 관계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NAC : 법정연간벌채량
    - In : 법정생장량
    - MAI : 벌기평균생장량
    - R : 윤벌기
    - Vr : 벌기임분의 재적
  • 44. 산림의 생산력 발전 단계 중 노동생산성이 작업노동과 관리노동으로 분리 취급된 단계는?
  • 45. 자산, 부채, 자본의 관계를 잘 나타낸 것은?
  • 46.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된 산림교육전문가가 아닌 것은?
  • 47. 법정상태 때의 임목본수와 현재 생육하고 있는 임목본수의 비로 표시하는 것은?
  • 48. 연이율이 6%이고 매년 240만원씩 영구히 순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산림을 3600만원에 구입하였을 때의 손익은?
  • 49. 산림경영계획의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0. 임업투자계획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51. 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된 "국민의 정서함양, 보건휴양 및 산림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한 산림"에 해당하는 것은?
  • 52. 산림평가방법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53. 산림의 6가지 기능 중 생태?문화 및 학술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산림을 보호?보전하기 위한 기능은?
  • 54. 감가상각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5. 면적이 120ha, 윤벌기 40년, 1영급이 10영계인 산림의 법정영급면적과 법정영계면적은?
  • 56. 복합임업경영의 주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57. 매년 산림경영관리에 투입되는 비용이 20만원, 연이율이 5%인 경우에 자본가는?
  • 58. 임목 및 임분을 측정하는 경우 불완전한 기계 또는 계산에 의한 오차는?
  • 59. 산림평가에서 임업이율을 고율로 평정할 수 없고 오히려 보통이율보다 약간 저율로 평정해야 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0. 측고기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과목 : 임도공학
  • 61. 불도저의 작업 범위가 아닌 것은?
  • 62. 임도 시공 시 흙깎기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3. 지선임도의 설계속도 기준은?
  • 64. 사면에 설치하는 소단의 효과가 아닌 것은?
  • 65. 교각법에 의해 임도 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교각이 60°이고 곡선 반지름이 20m 일 때 접선장을 구하는 계산식은?
  • 66. 다음 ()안에 해당하는 것은?
    곡선부의 중심선 반지름은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기준에 의한 규격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내각이 (   ) 도 이상되는 장소에 대하여는 곡선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67.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동일사면에 배향곡선을 2개 설치하려 한다.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배향곡선의 적정간격은?
    - 임도 간격 : 200m
    - 산지사면 기울기 : 30%
    - 종단 기울기 : 6%
  • 69. 임의의 등고선과 교차되는 두 점을 지나는 임도의 노선 기울기가 10%이고, 등고선 간격이 5m일 때 두 점간의 수평거리는?
  • 70. 레벨을 이용한 고저측량 시 기고식야장법에 의한 지반고를 구하는 방법은?
  • 71. 스타디아측량을 실시한 결과 연직각 15°, 협장 1.64m일 때 수평거리는? (단, 스타디아 정수 K = 100, C = 0)
  • 72. 암석의 굴착 시 리퍼작업이 가장 어려운 것은?
  • 73. 점착성이 큰 점질토의 두꺼운 성토층 다짐에 가장 효과적인 롤러는?
  • 74. 산록부와 산복부에 설치하는 임도이며, 임도 하단부에 있는 임목을 가선집재 방법으로 상향 집재할 필요가 있다하더라도 임도의 노선선정은 하단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선형을 계획하는 임도는?
  • 75. 자침편차 중 일차에 해당하는 변화량은?
  • 76. 임도의 종단기울기가 5%이고 곡선 반지름이 30m일 때 물매곡율비는?
  • 77. 최소곡선반지름의 크기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 78. 보통골재에 해당하는 것은?
  • 79. AB 측선의 방위가 S45°W이면 그 역방위는?
  • 80. 다음 조건에서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m3)은?
    - 양단면적 : 70m2, 30m2
    - 중앙단면적 : 45m2
    - 끝단면부에서 중앙단면부까지 높이 : 30m
5 과목 : 사방공학
  • 81. 유량이 40m3/s이고 평균유속이 5m/s일 때 수로의 횡단면적(m2)은?
  • 82. 산지사방에서 비탈다듬기공사를 실시할 경우 단면 A와 B의 단면적이 20m2와 30m2이고, 단면 사이의 길이가 50m일 때 평균단면적법에 의해 계산된 토사량(m3)은?
  • 83. 해풍에 의해 날리는 모래를 억류하고 퇴적시켜 인공사구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법은?
  • 84. Thiessen법에 의한 유역의 평균 강수량 강수량 산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5. 사방녹화용 재래 초본식물은?
  • 86. 토양침식의 형태 중 중력침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7. 비탈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으로만 나열된 것은?
  • 88. 콘크리트블록과 같은 가벼운 블록으로 비탈면을 처리하기 곤란한 지역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치기를 하는 비탈안정공법은?
  • 89. 비탈 식재녹화공법 중에서 비탈면 기울기가 1:1보다 완만한 비탈에 전면적으로 떼를 붙여서 비탈을 일시에 녹화하는 공법은?
  • 90.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이 아닌 것은?
  • 91. 사방댐과 비교한 골막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2. 수류(Flo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3. 산복사방공사에서 현지조사 시 실시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 94. 투과형 버트리스 사방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5. Bazin 구공식에서 자갈이 있는 불규칙한 자연수로의 조도계수는 어느 것인가?
  • 96. 계류 곡선부에 설치하는 사방댐의 방향은 유심선과 어느 각도를 이루도록 계획하는 것이 가장 안정한가?
  • 97. 야계사방공사의 시공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98. 누구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떼의 규격은 40cm × 25cm이고 흙두께가 5cm정도일 때 6급 선떼붙이기의 1m당 떼 사용매수는?
  • 100. 돌쌓기 공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한 규격으로 다듬은 석재는?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닫기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