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산림기사
영문명 :
Engineer Forest
관련부처 :
산림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산림기능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사

2. 자격정보

□ 산림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림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산림의 공학적 분야를 총괄적으로 이해한 산림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05년부터 '산림경영기사'와 '산림공학기사'가 '산림기사'로 통합됨.
□ 주요특징
산림과 관련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영림계획편성, 경영분석, 산림휴양시설의 설계 및 관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및 산림실무의 사방설계 및 시공, 임도설계, 시공 임업기계 비용, 기술 등의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산림청, 임업연구원, 각 시·도 산림부서, 임업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임업연구 원 등에 진출 가능.

-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와 임업직렬과 환경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산림청장은 임업분야 기능인의 취업알선과 고용안정을 위하여 임업분야 기능인에게 영림단을 조직하게 하여 간벌 사업, 산림 병해충 방제사업 등을 도급사업으로 하게 할 수 있는데, 산림기능사 이상의 자격증 소지자가 필요함.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8,3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산림조사, 산림경영계획 작성, 수종 식별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임학과, 산림자원학과 등 산림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중 환경

시험과목

- 필기

1) 조림학
2) 산림보호학
3) 임업경영학
4) 임도공학
5) 사방공학

- 실기

1) 산림경영 계획편성 및 산림토목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50점) + 작업형(2시간30분, 5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40분

1 과목 : 조림학
  • 1. 관다발 형성의 시원세포가 목부방향으로 분열하여 형성하는 조직은?
    부정아
    체관부
    물관부
    수피층
  • 2. 산림 내에서 나무가 죽어 공간이 생기면 주변의 나무들이 빈 공간 쪽으로 자라오고, 숲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나무는 햇빛이 많이 있는 바깥쪽으로 빨리 자란다. 이는 어떤 현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굴지성
    주광성
    휴면성
    삼투성
  • 3. 수목의 개화 촉진 방법이 아닌 것은?
    환상박피 실시
    단근, 이식 실시
    봄철에 질소 시비
    간벌, 가지치기 실시
  • 4. 파종량을 산정할 때 필요한 인자가 아닌 것은?
  • 5. 식재 후 첫 번째 제벌작업이 실시되는 임종별 임령으로 옳은 것은?
  • 6. 광합성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탄수화물이 이동 운반되는 통로는?
  • 7. 묘목의 자람이 늦어 묘상에 가장 오랫동안 거치하는 수종은?
  • 8. 침엽수의 적절한 가지치기 방법은?
  • 9. 소나무류에서 주로 실시하는 접목은?
  • 10. 천연림 보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인공조림에 의하여 새로운 수종의 숲을 조성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갱신 방법은?
  • 12. 잎의 유관속이 1개인 수종은?
  • 13. 단순림과 비교한 혼효림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 14. 산벌작업 방법에 속하는 것은?
  • 15. 테트라졸륨의 사용 목적으로 옳은 것은?
  • 16. MOller의 항속림 사상의 강조 내용으로 옳은 것은?
  • 17. 토양 수분에서 수목이 이용 가능한 것은?
  • 18. 잎의 기공을 열게 하여 증산작용을 촉진시키는 방법은?
  • 19. 나자식물의 엽육조직에서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이 분화되지 않은 수종은?
  • 20. 소립종자 1000개의 무게로 나타내는 종자 검사기준은?
2 과목 : 산림보호학
  • 21. 리지나뿌리썩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2. 솔잎혹파리 및 솔껍질깍지벌레 방제를 위하여 수간주사에 사용되는 약제는?
  • 23.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 24. 수병목을 예방하기 위한 숲가꾸기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5. 벚나무 빗자루병원균에 해당하는 것은?
  • 26. 볕데기(sun scorch)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7.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 28. 모잘록병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9. 약제 살포시 천적에 대한 피해가 가장 적은 살충제는?
  • 30.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31. 식물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구조적 특성은?
  • 32. 산림해충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3. 솔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4. 가해하는 기주범위가 가장 넓은 해충은?
  • 35. 어린 유충은 초본의 줄기 속을 식해하지만 성장한 후 나무로 이동하여 수피와 목질부를 가해하는 해충은?
  • 36. 겨울철 제설 작업에 사용된 해빙염으로 인한 수목 피해로 옳지 않은 것은?
  • 37.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에 가장 적합한 약제는?
  • 38. 산불 발생 시 직접 소화법이 아닌 것은?
  • 39. 세균에 의한 수목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0. 주로 목재를 가해하는 해충은?
3 과목 : 임업경영학
  • 41. 임목의 가격을 평가하기 위해 조사해야 할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단, 주벌 수확의 경우임)
  • 42. 다음 그림에서 총수익선과 총비용선이 만나는 점(A)을 무엇이라 하는가?
  • 43. 어떤 임목의 흉고단면적이 0.1m2, 수고가 14m, 형수는 0.4일 때 형수법에 의한 재적(m3)은?
  • 44. 배치 시설별 숲해설가 배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5. 임업이율의 성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6. 다음 조건에서 Huber식에 의한 통나무 재적은?
    - 재장 : 5m
    - 원구직경 : 25cm
    - 중앙직경 : 23cm
    - 말구직경 : 18cm
  • 47. 수간석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임업경영비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 49. 치유의 숲 안에 설치 할 수 있는 시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 50. 임목의 평균생산량이 최대가 될 때를 벌기령으로 정한 것은?
  • 51. 산림 관리회계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2. 임지의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별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으로 구분할 경우 개별적 요인이 아닌 것은?
  • 53. 흉고형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4. 산림수확조절을 위해 면적-재적검증방법 이용 시 필요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5. 임업투자결정방법에 있어 수익비용율법에 의해 투자효율을 분석하는 식은?
  • 56. 지황조사 항목으로 토양의 점토 함유량이 30%인 경우 토양형은?
  • 57. 다음 조건의 잣나무 임분에서 하이어(Heyer) 공식법에 의한 표준벌채량(m3/ha)은?
    - 평균 생장량 : 7m3/ha
    - 현실축적 : 350m3/ha
    - 법정축적 : 400m3/ha
    - 갱정기 : 20년
    - 조정계수 : 0.9
  • 58. 임목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임업의 경제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임분 수확표에 필요한 인자로 옳지 않은 것은?
4 과목 : 임도공학
  • 61. 지반고가 시점 10m, 종점 50m이고 수평거리가 1000m일 때 종단기울기는?
  • 62. 다각형의 좌표가 다음과 같을 때 면적은?
  • 63. 중심선측량과 영선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4. 산림토목 공사용 기계 중 토사 굴착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 65. 종단 기울기가 0인 임도의 중앙점에서 양측 길섶(길어깨)으로 3%의 횡단경사를 주고자 한다. 임도폭이 4m일 경우 양측 길섶은 임도 중앙점보다 얼마나 낮아져야 하는가?
  • 66. 임도의 횡단면도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축적으로 옳은 것은?
  • 67. 임도망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노면을 쇄석, 자갈로 부설한 임도의 경우 횡단 기울기의 설치 기준은?
  • 69. 급경사지에서 노선거리를 연장하여 기울기를 완화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평면선형에서의 곡선은?
  • 70. 어떤 산림의 임도를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사항은?
  • 71. 임도개설 시 흙을 다지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2. 평판을 한 측점에 고정하고 많은 측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그리고, 거리는 직접 측량하는 방법은?
  • 73. 임목수확작업에서 일반적으로 노동재해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신체부위는?
  • 74. 임도시공시 불도저 리퍼에 의한 굴착작업이 어려운 곳은?
  • 75. 산림관리 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서 암거, 배수관 등의 유수가 통과하는 배수구조물 등의 통수단면은 최대 홍수유량 단면적에 비해 어느 정도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가?
  • 76. 임도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7. 일반적으로 지주를 콘크리트 흙막이나 옹벽위에 설치하는 비탈면 안정공법은?
  • 78. 임도노선의 곡선설정 시 사용되는 식에서 곡선 반지름과 tan(교각/2)값을 곱하여 알 수 있는 것은?
  • 79. 개발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0. 임도에 설치하는 대피소의 유효길이 기준은?
5 과목 : 사방공학
  • 81. 땅밀림 침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2. 사방사업 대상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83. 조도계수가 가장 큰 수로는?
  • 84. 경사지에서 침식이 계속되는 비탈면을 따라 작은 물길에 의해 일어나는 빗물침식은?
  • 85. 사방댐에 설치하는 물받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6. 답압으로 인한 임지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7. 비탈면에서 분사식씨뿌리기에 사용되는 혼합재료가 아닌 것은?
  • 88. 산지 붕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9. 선떼붙이기 공법에서 급수별 떼 사용 매수로 옳은 것은?(단, 떼 크기는 40cm×25cm)
  • 90. 새집공법 적용에 가장 적당한 곳은?
  • 91. 경사가 완만하고 수량이 적으며 토사의 유송이 적은 곳에 가장 적합한 산복수로는?
  • 92. 유역면적이 100ha이고 최대시우량이 150mm/hr일 때 임상이 좋은 산림지역의 홍수유량은? (단, 유거계수는 0.35)
  • 93. 산지방의 기초공사에 해당하는 것은?
  • 94. 파종한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경사 비탈면에 시공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공법은?
  • 95. 물에 의한 침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 96. 비탈면 안정녹화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7. 사다리꼴 횡단면의 계간수로에서 가장 적합한 단면 산정식은? (단, 수로의 밑너비 B, 깊이 t, 측사각 ø)
  • 98. 사방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붕괴지 현황조사 항목에서 붕괴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00. 사방댐 설계를 위한 안정조건이 아닌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닫기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