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유기농업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Organic Agriculture
관련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유기농업기능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유기농업기사

2. 자격정보

□ 유기농업기능사 기출문제
유기농업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유기농업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유기농업기능사 자격은 유기농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전문유기농업인력을 육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유기농업이란 화학비료, 유기합성농약(농약, 생장조절제, 제초제 등), 가축사료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을 말함.
유기농업기능사는 유기농업 분야의 입지선정, 작목선정, 경영분석 등을 기획하고, 윤작체계 및 자재의 선정, 토양비옥도 및 병해충방지, 시비방법선정 사료확보 등 생산, 축사 설계, 축사분뇨처리업무와 유기농산물 원료의 가공, 포장, 유통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로 유기농업 관련 단체, 유기농업 생산회사, 유기농업 가공회사, 유기농산물 유통회사 등으로 취업 가능.

- 농협, 시·도·군 지자체, 농촌진흥청 등의 환경농업 담당공무원으로 진출 가능.

- 소비자단체, 환경보호단체, 사회단체 등 NGO 등의 직원으로 취업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농업직렬의 일반농업, 식물검역, 생명유전 직류에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유기농업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농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한 농산물 품질인증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인력, 우수농산물관리시설로 지정받기 위한 인력 등으로 활동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17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7.03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25
2024년 4회 2024.08.20 ~
2024.08.23
2024.09.08 ~
2024.09.12
2024.09.25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4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17,2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작물재배
2) 토양관리
3) 유기농업일반

- 실기

1) 유기농생산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작물재배
  • 1. 생력기계화재배를 통해 단위면적당 수량을 늘릴 수 있는데 그 주된 이유가 아닌 것은?
    지력의 증진
    노동력 증가
    적기·적작업
    재배방식의 개선
  • 2. 고온으로 발생된 해(害)작용이 아닌 것은?
    위조의 억제
    황백화 현상
    당분 감소
    암모니아 축적
  • 3. 엽면시비가 효과적인 경우가 아닌 것은?
    작물의 필요량이 적은 무기양분을 사용할 경우
    토양 조건이 나빠 무기양분의 흡수가 어려운 경우
    시비를 원하지 않는 작물과 같이 재배할 경우
    부족한 무기성분을 서서히 회복시킬 경우
  • 4. 토양 구조의 입단화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 5. 종자춘화형 식물이 아닌 것은?
  • 6. 작물의 분화 및 발달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 개방된 토수로에 투수하여 이것이 침투해서 모관상승을 통하여 근권에 공급되게 하는 방법은?
  • 8. 윤작방식은 지방 실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발달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원리가 포함되는데 옳지 않은 것은?
  • 9. 작물의 분화과정이 옳은 것은?
  • 10.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증대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1. 인산질 비료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 12.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대단히 넓은 범위의 일장조건에서 개화하는 식물은?
  • 13. 지리적 미분법을 적용하여 작물의 기원을 탐색한 학자는?
  • 14. 다음 중 벼를 재배할 때 풍해에 의해 발생하는 백수현상을 유발하는 풍속, 공기습도의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15. 작물에 유익한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아닌 것은?
  • 16. 다음은 작물의 내동성에 관여하는 요인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 17. 다음은 멀칭의 이용성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 18. 작물의 동상해에 대한 응급대책으로 틀린 것은?
  • 19. 다음 중 작물 혼파의 이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20. 대기 습도가 높으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2 과목 : 토양관리
  • 21. 단위면적당 생물체량이 가장 많은 토양미생물로 맞는 것은?
  • 22. 호기적 조건에서 단독으로 질소고정작용을 하는 토양미생물 속(屬)은?
  • 23. 토양이 자연의 힘으로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생성된 토양 중 중력의 힘에 의해 이동하여 생긴 토양은?
  • 24. 식물체에 흡수되는 무기물의 형태로 틀린 것은?
  • 25. 토양입자의 크기가 갖는 의미로 틀린 것은?
  • 26. 토양단면도에서 O층에 해당되는 것은?
  • 27. 질화작용이 일어나는 장소와 과정이 옳은 것은?
  • 28. 식물영양소를 토양용액으로부터 식물의 뿌리표면으로 공급하는 대표적인 기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9. 큰 토양입자가 토양표면을 구르거나 미끄러지며 이동하는 것은?
  • 30. 토양의 용적밀도를 측정하는 가장 큰 이유는?
  • 31. 밭토양과 비교하여 신개간지 토양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 32. 토양을 분석한 결과 양이온교환용량은 10cmolc/kg이었고, Ca 4.0cmolc/kg, Mg 1.5cmolc/kg, K 0.5cmolc/kg 및 Al 1.0 cmolc/kg 이었다면 이 토양의 염기포화도(Base saturation)는?
  • 33. 토양공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4. 논토양에서 물로 담수될 때 철의 변환에 따른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5. ( )안에 알맞은 내용은?
    집단류란 물의 ( )으로 ( )과(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 36. 토양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7. 다음 중 토양유실예측공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38. 이 성분을 많이 흡수한 벼는 도복과 도열병에 강해지고 증수의 효과가 있다. 이 원소는?
  • 39. Kaolini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0. 대표적인 혼층형 광물로서 2 : 1 : 1 의 비팽창형 광물은?
3 과목 : 유기농업일반
  • 41. 친환경농축산물의 분류에 속하는 것은?
  • 42. 퇴비제조 과정에서 재료가 거무스름하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이유에 해당되는 것은?
  • 43. 초생재배의 장점이 아닌 것은?
  • 44. 무경운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5. 시설의 일반적인 피복방법이 아닌 것은?
  • 46. 유기축산물에서 축사조건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47. 다음은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 48. 다음은 유기농업의 병해충 제어법 중 경종적 방제법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 49. 유기사료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 50.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의 곡물부산물(강피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51. 농업환경의 오염 경로로 틀린 것은?
  • 52. 다음 중 배 품종명은?
  • 53. 유기농업 벼농사에서 이삭의 등숙립(登熟粒)이 몇 % 이상일 때 벼를 수확해야 하는가?
  • 54. 유기농업의 목표가 아닌 것은?
  • 55. 다음 중 붕소의 일반적인 결핍이 아닌 것은?
  • 56. 인과류에 속하는 과수는?
  • 57. 퇴비화 과정에서 숙성단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 58. 다음 중 적산온도가 가장 높은 작물은?
  • 59. 벼 생육의 최적 온도는?
  • 60. 작물이나 과수의 순지르기 효과가 아닌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닫기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