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정보사회와 초등정보교육의 방향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0.01
1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수록지정보 : 교육논총
저자명 : 이철환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정보화 사회와 초등정보교육
Ⅳ. 초등정보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우리 시대의 가장 큰 특성은 변화의 정도와 그 속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지난 몇 년 동안 우리에게 익숙해오던 ‘정보화 시대’, ‘정보시대,’ 혹은 ‘디지털시대’라는 시대적 표현이 어느새 ‘지식기반사회’라는 용어로 변화되어 쓰이고 있는 상황을 통해서도 경험할 수 있다. 농업사회, 산업사회를 거쳐서 정보화사회, 혹은 정보사회에 이르기까지, 각 사회로의 전환은 매번 수 천년에서 수 백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러나 정보시대에서 지식기반시대로의 전환은 거의 몇 년 정도의 시간만이 필요하다. 미국 켈로그 재단의 추정에 의하면 지식의 총량이 지금은 약 5년 단위로 배증 되고 있으나 2020년에는 73일마다 2배가될 것이라 한다(한국경제, 1999, 4/13).

영어 초록

The aim of Information Education is to cultivate students' aptitude of obtaining,
processing, exchanging and creating information on their own initiative. Students'
information quality is a basic viability in new century. We can classify knowledge into
five categories; 1) Know What - the fact, 2) Know Why -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the developing rules of the nature and the society, 3) Know How - the engineering and
technology, 4) Know Where & Who - obtain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and 5) Know
New - innovation.
Information Education has become the urgent problem that should be paid much
atten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reform in today's Korea. Information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point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information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1) Teach students to form the initial and scientific realization of information.
2) Teach students to form the correct attitude to life in information society.
3) Teach students the practical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smartly in school study
and daily life.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rec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meaning of
informatized society, the new paradigm of education, and the trends and issues in
inform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ggested some sound
approaches for the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elf-directed instruction, and education of
home-knowledgian. Finally, the study proposed status and directions of inform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정보사회와 초등정보교육의 방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