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초등학교에서의 현장연구의 현황과 발전과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0.01
5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8,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수록지정보 : 교육논총
저자명 : 이학주, 윤기옥, 윤홍표, 김인길, 김봉석

목차

Ⅰ. 서언
Ⅱ. 현장연구의 개념 발달
Ⅲ. 현장연구의 현황
Ⅳ. 현장연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
Ⅴ. 결론 : 우리나라 현장연구의 발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세계화, 지식기반 사회로 특징지어지는 21세기에 경쟁력을 지닌 유능한 민주시민을 기르
기 위한 교육개혁은 많은 나라에서 생존을 위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개혁의 성
공은 궁극적으로 하나 하나의 교실의 변화, 한명 한명의 교사의 변화에 달려있다(Fullan et
al., 1989)는 생각과 함께 여러 나라의 교육개혁에서 강조하는 것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다.
현장연구는 교사 개개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현장연구는 교사를 활동하도록 만
들고, 참여는 헌신적 태도를 낳는다는 격언을 구체화하고 있고, 실제적인 문제․실사회의
문제와 그 해결책에 주의를 기울이고, 협력할 기회를 제공하고, 교수-학습의 개선이라는 교
사의 주된 관심사를 다룬다는 면에서 교사 개개인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방법이다
(Holly, 1991) .

영어 초록

After languishing for a few decades as a research, action research seems to be
enjoying a revival of interest in almost all the countries. In Korea it has been
emphasized for some time, providing various rewards to teachers who conduct it. But
due to the peculiar culture of teaching profession in Korea, it is doubtful if the teachers'
enthusiasm for action research has resulted in the enhancement of student achievement,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school renewal.
Action research is a form of collaborative self-reflective inquiry undertaken by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own practices, their understandings of those practices,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ose practices are carried out. Teachers who engage in
action research generally become more aware of their own practices, of the gap between
their beliefs and practices, and of what their pupils are thinking, feeling and learning.
Action research helps sharpen teachers' reasoning capabilities and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dispositions to self-monitor one's teaching practices over time.
At the outset of knowledge-based globalized societ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learning school which is similar to Schaefer's 'school as a center of inquiry', which
is what a school has to be like organizationally speaking in order to foster the learning
of all its students. And the interest can be found in a school built around action
research.
There must be congruence between the two levels-classroom learning level and
whole school organizational level-, and action research has the potential to make this
happen within the context of 'the developing school'. Action research as collaborative
inquiry is what students and teachers do in the collaborative inquiring school. Such
homological considerations are vital.
With the thought that educational change is ultimately dependent on change in
individual classrooms and in individual teachers, and action research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individual teachers and individual classrooms as mentioned abov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action research, the development of action researc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present situation of action researc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cognition of elementary teachers on action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ction research are explor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teachers' cognitions on the action research can
be summe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sitions.
1. Action research is useless and should be expelled.
2. Serious critical comments on the present situation of action research cannot be
helped and outweighs the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3. Even though action research has its limitations, action research is necessary
and some alternatives should be explor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action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e
following development tasks can be suggested.
1.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Do and City level should manage action
research.
2. Diverse reward systems for good teacher-researchers should be developed.
3. In terms of research method and content diversity should be encouraged.
4.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mong teachers, teacher educators, researchers,
research centers should be encouraged.
5.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interest in action research, research conditions at
school should be improv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경희대학교] 소논문 한국 전통문화 체험관의 활성화 방안 A+ 10페이지
    그나마도 대부분이 어린이나 초등·중학교 학생의 체험 학습 활동을 대상으로 ... 트위터 문화현상의 축제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 , 사회과학연구논총 제18권,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7.
  • 한글파일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실태와 대응방안(학사논문) 18페이지
    경험하였는데 다소 소극적인 현상이 주로 나타난 것은 신고 된 학대아동 대부분이 초등학교 ... 따라서 우리의 과제는 이제부터라도 아동학대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고 그에 따른 ... 797건, 유기 133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2.학대로 인한 아동피해 현황
  • 한글파일 진로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12페이지
    이렇게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진로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진로교육의 개선점으로는 ... 먼저, 두 초등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와 방법적인 ... 실제 초등학교 현장의 수업 내 측면에서 효과성이 발휘되고 있는지 탐색하여
  • 한글파일 농촌 관광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5페이지
    연령수준은 30~40대의 젊은 층이 가장 많은 편으로 주로 이들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국내·외 농촌관광의 현황 Ⅳ. ... 농촌 관광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Ⅰ.
  • 한글파일 방과후 아동보육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27페이지
    초등학교 아동들은 저학년일수록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은 짧고, 학교 밖에서 ... 방과후 아동보육시설 현황 및 실태분석 1. ... 서론 현대사회는 고도로 산업사회로 급속히 발전하면서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초등학교에서의 현장연구의 현황과 발전과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