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일반유아와 시각손상유아의 큰 운동(Gross Motor) 능력 비교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8.09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24권 / 3호
저자명 : 최윤정, 홍재영, 한성희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시각정도에 따른 큰 운동(gross motor)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유아와 시각손상유아의 큰 운동 능력을 알아보고, 또한 시각손상유아들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교교활동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의 대상은 약시유아 8명, 맹유아 8명, 일반유아 8명으로 정기적인 체육프로그램 참여를 하지 않은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Ulrich 개발한 TGMD-2(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로 이동운동과 조작운동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큰 운동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 시각정도에 따른 이동운동 능력에서는 달리기(run), 말뛰기(gallop), 한발뛰기(hop), 뛰어넘기(leap), 멀리뛰기(horizontal jump)영역에서 일반유아, 약시 유아, 맹유아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시각손상 정도에 따른 조작운동 능력에서는 공치기(strike), 공튀기기(dribble), 공차기(kick), 공받기(catch), 어깨 위로 공 던지기(overhand throw) 영역에서 일반유아, 약시유아, 맹유아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각손상 유아들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교육활동에서 자료로 활용되어 시각손상 유아의 큰 운동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the curriculum which involves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pre-schoolers with visual impairment. In order to do this, this research explores the way in which the gross motor ability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e sampling objects of the research were selected from students who do not participate in any regular physical program; 8 normal preschoolers, 8 low vision preschoolers, and 8 blinded preschoolers. Using TGMD-2(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 by Ulrich, I observed the gross motor ability demonstrated in the areas of locomotor and object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locomotor, such as running, galloping, hopping, leaping, horizontally jumping.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area of object control, such as striking stationary balls, stationary dribbling, kicking, catching, and throwing overhand.
As above, I observed that the gross motor ability was affected by visual impairment. However I acknowledge that with restricted test tools there is limitations in exploring the gross motor ability precisely. Hence it is suggested to examine the gross motor ability more accurately with an ecological assesment model which involves the exterior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childre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일반유아와 시각손상유아의 큰 운동(Gross Motor) 능력 비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