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참여와의 관계 연구

*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5.08.19
최종 저작일
2015.06
8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가설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주도학습능력
1)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념
2)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
2. 학습참여
1) 학습참여 개념
2) 학습참여 측정
3.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참여와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1) 자기주도학습능력
(1)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 도구
(2)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신뢰도 분석
2) 학습참여
(1) 학습참여 측정 도구
(2) 학습참여에 대한 신뢰도 분석
4.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기초통계분석
1) 인구통계분석
2.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주요 요인에 대한 차이검증
1) 직급에 따른 주요 요인에 대한 차이검증
2) 소속 기업 산업 군에 따른 주요 요인에 대한 차이검증
3) 소속 직군에 따른 주요 요인에 대한 차이검증
4) 과거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따른 주요 요인에 대한 차이검증
3. 요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4. 연구가설 검증
1)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자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
2)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3)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자의 감성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4)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자의 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Ⅴ.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1 : 설문조사서

본문내용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 2015년 3월 5일부터 4월 10일까지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 기법(random sampling method)을 하여 표본을 구성하였다.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표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0부를 배포하고 160부를 수거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10부를 제외하고 총 150부를 설문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은 21문항, 종속변인인 학습참여는 18문항,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12문항으로 총 51문항을 사용했다. 측정한 주요 변인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량(descriptive statistics)을 통해 변수들의 특성치를 파악,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고, 내적 일관성 측도로써 Cronbach's alpha값을 적용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인구통계변인(직급, 소속기업 산업군, 소속 직급, 과거 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따른 자기주도학습과 학습참여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독립 이표본 t-검증(independent two-samples t-test)과 분산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요인들에 대해 상관계수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는 두 변수간의 선형적 강도를 의미하는데, 피어슨(Pearson)의 상관계수를 통해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가설인 ‘자기주도학습이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가설 검증 결과를 정리하면 <표 22>와 같다.

참고 자료

권정은(2012).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주도학습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혜진(2013). 교육조직에서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사-학생 관계의 질(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경, 이희수(2011). 방송대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계속학습 활동에 나타난 학습지속 요인 . 평생교육학연구, 17(4), 171-204.
김요완, 박종선, 전광호(2013).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매개역할. 교육정보미디어, 19(4), 743-765.
김지자(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2(1), 1-15.
김진화(2006). 평생교육 방법 및 실천론. 경기 고양: 서현사.
김창엽, 성낙돈(2009). 평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접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원격교육연구소. 평생학습사회 KCI 등재 후보.
도승이, 손수경, 변준희, 임지윤(2011).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5(4), 945-970.
박길수, 신덕상, 이희수(2010). 군인의 자기주도성에 근거한 군 인적자원개발의 가능성 탐색: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를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6(2), 141-164.
박영태, 현정숙(2002).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이해.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배영주(2003). 성인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배은자(2013).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매개 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을규(2006). 성인교육의 실천적 기초 : 이론과 방법. 학지사.
배을규(2010). 인적자원 개발론 전자자료. 학이시습.
배을규(2012). 자기주도학습 능력, 경력 정체 및 경력 만족의 관계 : 건설사업관리업체의 사례. 대한경영학회지, Vol,25 No,9, KCI등재.
배을규(2014).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HRD연구, Vol,16 No,1, KCI등재.
배을규, 김홍복, 김대영(2010).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조직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 · HRD연구, Vol,6 No,1, KCI등재후보.
배을규, 이민영(2010). HRD기업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2(3), pp, 1-26.
봉미미, 김혜연, 신지연, 이수현, 이화숙(2008).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19-348.
손수경(2006). 원격대학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지속과 학습비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경애(2006). 자아 존중감 및 자기결정 동기가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Vol,10 No,3.
송현(2011). 학습자의 사회적 행동유형이 학습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그룹활동을 매개로.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영애, 신혜숙(2006). 성격유형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3, 25-44.
심화영(2014).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이 학습참여와 지식 구성단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Vol,30 No,4, KCI등재.
양애경, 조호제(2009).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upon Academic Achievement. 한국교육논단, Vol,8 No,3.
우지원, 김보경(2014).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KCI등재.
유귀옥(1997).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 심리학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은영(2012). 공공도서관의 조직학습준비도가 사서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지원(2011).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 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engagement.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지원, 강명희(2012).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환경과 학습자 요인 간의 구조적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2권 제 4호, p, 309-337.
윤정선, 박부진(2014).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KCI등재.
이말순(2015). 성인학습자의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비교,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영(2010). HRD기업의 학습조직화수준이 구성원의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란(2013). 중등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교사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이의길(2009). 온라인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의 관계 및 역할 = Ro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in Online Discussions. 교육공학연, Vol,25 No,1. KCI등재.
이장익, 김주후(2012).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직업교육연구,31(2), 227-246.
이지혜(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48(2), 67-92.
이희수(2001). 학습사회에서 학습경제로의 전환 논리와 그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7(1), 211-238.
장태원, 홍아정(2011).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2(2), 17-34.
전은순(2011).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참여 경험 및 자기주도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진철(2010).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성과분석. 고용노동부.
조윤정(2011). 고등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 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진성미(2002). 영업직 종사자의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갑부(1999). Gerald O,Grow의 단계적 자기주도학습(SSDL)모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평생교육연구 ,5(1), 141-160.
최원정(2013). 학습 참여 증진을 위한 어포던스 관점의 모바일러닝 설계원리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수(2014).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지속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질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영자(2011). 적시학습 지원을 위한 모바일러닝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효과. 평생학습사회, 7(1), 17-41.
한국교육개발원(2012). 2012평생교육통계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한상훈(2007).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7(2), 355-374.
한지영(2008).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공학교육연구, 11 (4), 64-75.
한지영, 이민영, 정보라(2009). 자기주도학습 능력 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 (4), 115-125.
허남진(2004).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현영섭(2010).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관계에 학습에 대한 주도성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 HRD 연구, 12 (2), 45-65.
현정숙(1999).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준희(2012).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andy,P.(1991).Self-direction for life 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Francisco,CA:Jossey-Bass.
Carini, R. M., Kuh, G. D., & Klein, S. P. (2006).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esting the linkag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 (1), 1-32.
Coates, H. (2006). Students engagement in campus- based and online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Garrison, D. R. (1997). Self-directed learning: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Adult Education Quarterly, 48 (1), 18-33.
Greene,R.R.(2002).Resiliency:An integrated approach to practice, policy, and research. Washington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Workers,Inc.
Guglielmino,L.M.(1977).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Handelsman, M. M., Briggs, W. L., Sullivan, N., & Towler, A. (2005). A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 esearch, 98(3),184-191.
He, Y. C. (2009). Self-determination amon g adult Chinese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 ved autonomy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en g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동*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참여와의 관계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