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개발 가능성 탐색연구: 학내 국제화(IaH)1)의 영향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2.11
최종 저작일
2015.10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3권 / 3호
저자명 : 이병식, 전민경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정부와 대학들은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위해 학내 국제화
(internationalization at home, IaH)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노
력들이 대학의 중요한 교육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국 4년제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5,598명을 대상으로 학내 국제화가 대학생
의 글로벌 역량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HLM) 분석을 실시한 결
과, 학생수준에서는 국제화 교육을 경험할수록 글로벌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
문화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글로벌 역량의 모든 하위영역인 글로벌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역량이 개발되었다. 영어강의 수강은 글로벌 기술역량과 가치 및 태도역량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대학수준에서는 외국인 교수비율과 어학연수생비율이 높을수록
글로벌 기술역량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장기체류 유학생비율이 높을수록 글로벌 가치 및 태
도역량 개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개발과 학내 국제화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어 초록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nternationalization at home in Korean
universities improves the global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Using HLM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nationalized curriculum and structural diversity
measured b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aculty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global competen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with the data from Korean College Senior Survey (KCSS) 2012 collected by the
Center for Global Higher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including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5,598 junior and senior students at 50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o sum up the finding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internationalized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 Taking a diversity
course in particula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t. Whether a student took an
English mediated course turned out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global skill and value. Interestingly, however, at the institutional
level, the number of foreign professors and types of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lobal skill development of domestic students. While
HEIs with more foreign professors and short-term international students improved
global competency, those with more long-term international students turned out to
be the opposi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nbound internationalization of HEIs and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 in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개발 가능성 탐색연구: 학내 국제화(IaH)1)의 영향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