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페다고지, 엔드라고지, 제라고지를 각각 비교하여 설명해 보시오.

조코치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7.25
최종 저작일
2022.05
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페다고지, 엔드라고지, 제라고지를 각각 비교하여 설명해 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페다고지, 엔드라고지, 제라고지의 이해
2. 페다고지, 엔드라고지, 제라고지의 비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페다고지란, 주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초점이 맞춰진 교육 접근방식을 뜻한다. 어원을 살펴보면 아이를 뜻하는 pais와 지도를 뜻하는 ago의 합성어로써 아이 지도라고 볼 수 있다. (이연선, 2020) 페다고지는 단순한 실행과 적용이 아닌, 반복되는 훈련속에서 유기적인 지식을 깨닫는 과정으로써 학문적인 통찰력과 직관적으로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론적 활용에 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육성되는 교사에 대해 점차 페다고지에 대한 인식적 교육이 점차 이뤄지지 않거나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 상태로 교육현장에 배출된 교사들은 페다고지의 면밀한 이해가 없는 상태인 경우이기 때문에 정해진 수업사이클만을 일률적으로 반복하는 형태의 교육이 고착화되고 있다. 예컨대 교육의 주제와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해 도입, 전개, 마무리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릴 뿐이다. 페다고지는 인식론적으로 이원론을 기반으로 연구되어 왔다. 현장에서 교사가 페다고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행동주의, 발달주의, 자유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페다고지의 관점이 정리되었다. 각 관점에서의 강점과 취약점이 있다. 행동주의의 경우는 교사의 행동이 주된 교육 흐름이 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비판적사고나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성이 발현되기 어렵다. 그럼에도 반복과 보상을 통해 일방적으로 습득해야할 지식의 학습에는 아직도 유용하다. 사회적 구성주의와 자유주의는 행동주의와 다르게 탐구, 참여, 실습 등으로 교육 흐름을 학습자가 주도할 수 있게 된다.

참고 자료

이연선(2020). 새로운 교육담론과 실험적 실천: 뇌과학, 놀이 그리고 페다고지(p.314-372).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1 (임부연, 정낙림, 조상식, 정광순, 최승현, 류미향, 전가일, 이진희, 이연선 공저). 서울: 교육과학사.
Carey-Jenkins, (2019). Pedagogies for children’s perspective. In C. Patterson, & L., Kocher, (Eds), Thinking about pedag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Dahlberg, G., Moss, P., & Pence. A. (1999).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 Philadelphia: Falmer Press.
Greenwood, B. (2020). What is pedagogy- a guide to learning theories.
https://blog.teamsatchel.com/what-is-pedagogy-a-guide-to-learning-theories
Merewether, J. (2018). Listening to young children outdoors with pedagogical docu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6(3), p. 259-277.
Moss, P.(2021). 유아교육과 대안적 내러티브(Alternative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이연선, 손유진, 신은미, 이경화, 이진희, 정혜영 옮김). 서울: 살림터. (원본발간일 2019년)
Murris, K. (2016). The posthuman child: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t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New York: Routledge.
Olsson, L. M., & Vandenbroeck, M. (2017). Preface(p.vii-x). Constructions of neurosic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In Vandenbroeck, M. De Vos, J., Fias, W., Olsson, L. M. Penn, H., Wastell, D., & White, S. (eds). New York: Routledge.
조코치
판매자 유형Platinum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페다고지, 엔드라고지, 제라고지를 각각 비교하여 설명해 보시오.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