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산림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Forest
관련부처 :
산림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산림기능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사

2. 자격정보

□ 산림기능사 기출문제
산림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림 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산림의 종합적인 개발을 도모하고,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숙련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산림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조림, 육림, 임업기계사용, 목재수확, 임도설치 등의 산림 생산에 관한 작업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임업회사, 휴양시설 등으로 취업 가능.

- 임업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임업연구원, 각 시, 도 산림부서, 산림청 등으로도 취업 가능.

-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원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와 임업직렬과 환경직렬의 전 직류에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산림청장은 임업분야 기능인의 취업알선과 고용안정을 위하여 임업분야 기능인에게 영림단을 조직하게 하여 간벌 사업, 산림 병해충 방제사업 등을 도급사업으로 하게 할 수 있는데, 산림기능사 이상의 자격증 소지자는 영림단 구성을 위한 필수인력으로 활용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09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64,2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임업용 체인톱 분해 조립 및 정비, 벌목 작업, 원목 재적 측정, 집재용 나무운반미끄럼틀 설치 및 해체, 목재 수확용 와이어로프 고리 만들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조림 및 육림기술
2) 산림보호
3) 임업기계일반

- 실기

1) 산림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2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조림 및 육림기술
  • 1. 다음 중 종자 수득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잣나무
    벚나무
    박달나무
    가래나무
  • 2. 소립종자의 실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종자 1L의 4회 평균 중량
    종자 1,000립의 4회 평균 중량
    종자 100립의 4회 평균 중량 곱하기 10
    전체 시료종자 중량 대비 각종 불순물을 제거한 종자의 중량 비율
  • 3. 임지에 비료목을 식재하여 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다음 중 비료목으로 적당한 수종은?
    소나무
    전나무
    오리나무
    사시나무
  • 4. 덩굴류 제거작업 시 약제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 파종조림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 묘포의 정지 및 작상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밭갈이 깊이는?
  • 7. 임분을 띠모양으로 구획하고 각 띠를 순차적으로 개벌하여 갱신하는 방법은?
  • 8. 묘상에서의 단근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 벌채 방식이 간벌작업과 가장 비슷한 것은?
  • 10. 침엽수의 수형목 선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묘포 설계 면적에서 육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2. 다음 중 모수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3. 산림 토양층위 중 빗물이 아래로 침전하면서 부식 질, 점토, 철분, 알루미늄 성분 등을 용탈하여 내려가다가 집적해 놓은 토양층은?
  • 14. 다음 중 수목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5. 묘목이 활착되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 16. 산지에 묘목을 식재한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무육작업은?
  • 17. 채종림 지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다음 중 생가지치기를 할 때 상처 부위의 부후 위험성이 가장 큰 수종은?
  • 19. 선묘한 2년생 소나무 묘목의 속당 본수로 옳은 것은?
  • 20. 우리나라 지각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암석은?
  • 21. 택벌림에서 가장 많은 본수의 경급은?
  • 22. 풀베기 작업을 1년에 2회 실시하려 할 때 가장 알맞은 시기는?
  • 23. 어리나무가꾸기 작업 시 맹아력이 왕성한 활엽수종에 가장 적합한 작업방법은?
  • 24. 다음 중 인공조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5. 10ha의 산림에 묘목을 2m 간격으로 정방형 식재하려면 최소 몇 주의 묘목이 필요한가?
2 과목 : 산림보호
  • 26. 1년에 2~3회 발생하며 1, 2령기 유충은 밤 가시를 식해하다가 3령기 이후 성숙해지면 과육을 식해하는 해충은?
  • 27.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균은?
  • 28. 다음 중 알로 월동하는 해충은?
  • 29. 다음 중 기주교대를 하는 수목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0. 충분히 자란 유충은 먹는 것을 중지하고 유충시기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31. 배나무를 기주교대 하는 이종 기생성 병은?
  • 32. 다음 수목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 33. 다음 중 살충제의 제형에 따라 분류된 것은?
  • 34. 아황산가스 대기오염에 의한 수목의 피해향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5. 다음 중 산불에 대한 내화력이 강한 수종은?
  • 36. 다음 중 제초제의 병뚜껑과 포장지 색으로 옳은 것은?
  • 37. 대추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 및 치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8. 성숙한 유충의 몸길이가 가장 큰 해충은?
  • 39. 볕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0.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뿌리혹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과목 : 임업기계일반
  • 41. 다음 중 냉각된 기계톱의 최초 시동 시 가장 먼저 조작하는 것은?
  • 42. 가선집재에 사용되는 가공본줄의 최대장력은? (단, T=최대장력, W=가선의 전체중량, Ø=최대장력계수 P=가공본줄에 걸리는 전체하중)
  • 43. 소집재작업이나 간벌재를 집재하는데 가장 적절한 장비는?
  • 44. 삼각톱니 가는 방법에서 톱니 젖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5. 다음 중 양묘작업 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6. 도끼 자루 제작을 위한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7. 대패형 톱날의 창날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8. 산림작업 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9. 집재장에서 통나무를 끌어내리는데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작업도구는?
  • 50. 기계톱 안내판의 끝부분이 단단한 물체에 접촉하여 안내판이 작업자가 있는 뒤로 튀어 오르는 현상은?
  • 51. 윤활유로서 구비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 52. 기계톱 출력의 표시로 사용되는 단위로 옳은 것은?
  • 53. 체인톱니의 피치(pitch)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54. 기계톱을 이용한 벌목작업에서 안전상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쐐기는?
  • 55. 4행정 엔진과 비교할 때 2행정 엔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6. 기계톱에 사용하는 연료는 휘발유 20리터에 휘발유와 오일을 25 : 1의 비율로 혼합하려고 한다. 다음 중 오일의 양은 얼마인가?
  • 57. 4행정 싸이클 기관의 작동순서로 옳은 것은?
  • 58. 우리나라 여름철(±10℃~±14℃)에 기계톱 사용 시 혼합유 제조를 위한 윤활유 점도가 가장 알맞은 것은?
  • 59. 벌목작업 시 다른 나무에 걸린 벌채목의 처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다음 중 벌도, 가지치기 및 조재작업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는?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