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산림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Forest
관련부처 :
산림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산림기능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사

2. 자격정보

□ 산림기능사 기출문제
산림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림 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산림의 종합적인 개발을 도모하고,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숙련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산림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조림, 육림, 임업기계사용, 목재수확, 임도설치 등의 산림 생산에 관한 작업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임업회사, 휴양시설 등으로 취업 가능.

- 임업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임업연구원, 각 시, 도 산림부서, 산림청 등으로도 취업 가능.

-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원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와 임업직렬과 환경직렬의 전 직류에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산림청장은 임업분야 기능인의 취업알선과 고용안정을 위하여 임업분야 기능인에게 영림단을 조직하게 하여 간벌 사업, 산림 병해충 방제사업 등을 도급사업으로 하게 할 수 있는데, 산림기능사 이상의 자격증 소지자는 영림단 구성을 위한 필수인력으로 활용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09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64,2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임업용 체인톱 분해 조립 및 정비, 벌목 작업, 원목 재적 측정, 집재용 나무운반미끄럼틀 설치 및 해체, 목재 수확용 와이어로프 고리 만들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조림 및 육림기술
2) 산림보호
3) 임업기계일반

- 실기

1) 산림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2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조림 및 육림기술
  • 1. 산림토양층에서 가장 위층에 있는 것은?
    표토층
    심토층
    모재층
    유기물층
  • 2. 덩굴제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리적방법과 화학적방법이 있다.
    콩과식물은 디캄바액제를 살포한다.
    일반적인 덩굴류는 글라신액제로 처리한다.
    24시간 이내 강우가 예상될 경우 약제 필요량보다 1.5배 정도 더 사용한다.
  • 3. 묘목의 가식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기간 가식할 때에는 다발채로 묻는다.
    장기간 가식할 때에는 묘목을 바로 세운다.
    충분한 양의 흙으로 묻은 다음 관수(灌水)를 한다.
    일시적으로 뿌리를 묻어 건조 방지 및 생기 회복을 위해 실시한다.
  • 4. 묘목의 식혈식재(구덩이 식재)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5. 다음 중 맹아갱신 작업에 가장 유리한 수종은?
  • 6. 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7. 다음 중 내음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
  • 8. 실생묘 표시법에서 1 - 1 묘란?
  • 9. 다음 중 결실주기가 가장 긴 수종은?
  • 10. 수확을 위한 벌채 금지 구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조림목과 경쟁하는 목적 이외의 수종 및 형질불량 목이나 폭목 등을 제거하여 원하는 수종의 조림목이 정상적으로 생장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은?
  • 12. 리기다소나무 노지묘 1년생 묘목의 곤포당 본수는?
  • 13. 종묘사업 실시요령의 종자품질기준에서 다음 중 발아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 14. 연료채취를 목적으로 벌기령을 짧게 하는 작업종은?
  • 15. 중림작업의 상층목 및 하층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6. 가지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다음의 표를 참고하여 아래 조건에 대하여 적합한 수종은?
  • 18. 잔존시키는 임목의 성장 및 형질 향상을 위하여 임목 간의 경쟁을 완화시키는 작업은?
  • 19. 3년생 잣나무를 관리하기 위해 풀베기 작업 계획 수립 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20. 나무를 굽게 하고 생장을 저하시키며 심한 경우 나무줄기를 부러뜨리는 기후 인자는?
  • 21. 모수작업법을 이용한 산림 갱신에서 모수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22. 종자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3. 2ha의 면적에 2m 간격으로 정방형으로 묘목을 식재 하고자 할 때 소요 묘목본수는?
  • 24. 산벌작업의 순서로 옳은 것은?
  • 25. 밤나무 종자의 정선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2 과목 : 산림보호
  • 26.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7. 다음 살충제 중에서 불임제의 작용 특성을 가진 것은?
  • 28. 잣이나 솔방울 등 침엽수의 구과를 가해하는 해충 은?
  • 29. 어스렝이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0. 세균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 31. 벚나무빗자루병의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2. 다음 살충제 중 가장 친환경적인 농약은?
  • 33. 피해목을 벌채한 후 약제 훈증처리의 방제가 필요한 수병은?
  • 34. 저온에 의한 피해의 종류가 아닌 것은?
  • 35.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에 잘 견디는 수종으로 옳은 것은?
  • 36. 미국흰불나방이나 텐트나방의 유충은 함께 모여 살면서 잎을 가해하는 습성이 잇는데, 이를 이용하여 유충을 태워 죽이는 해충 방제 방법은?
  • 37.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으로 옳은 것은?
  • 38. 내화력이 강한 수종으로 옳은 것은?
  • 39.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주요 소나무류 잎녹병균의 중간기주가 아닌 것은?
  • 40. 선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과목 : 임업기계일반
  • 41. 2행정 내연기관에서 외부의 공기가 크랭크실로 유입되는 원리로 옳은 것은?
  • 42. 기계톱에 사용하는 윤활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3. 내연기관에서 연접봉(커넥팅 로드)이란?
  • 44. 기계톱의 에어필터를 청소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것은?
  • 45. 기계톱 작업 중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방음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6. 디젤기관의 특징이 아닌 것은?
  • 47. 기계톱에서 깊이 제한부의 주요 역할은?
  • 48. 예불기 구성요소인 기어 케이스 내 그리스(윤활유) 의 교환은 얼마 사용 후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 49. 무육작업용 장비로 활용하기 가장 부적합한 것은?
  • 50. 산림용 기계톱에 사용하는 연료의 배합기준(휘발 유 : 엔진오일)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51. 삼각톱니의 젖히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2. 임업용 기계톱의 엔진을 냉각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 53. 분해된 기계톱의 체인 및 안내판을 다시 결합할 때 제일 먼저 해야 될 사항은?
  • 54. 벌목작업 도구 중에서 쐐기는?
  • 55. 벌도와 벌도목을 모아쌓는 기능이 주목적으로 가지 제거나 절단 기능은 없는 임업기계는?
  • 56. 산림작업의 벌출공정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 57. 산림작업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8. 산림용 기계톱 구성요소인 쏘체인(sawchain)의 톱날 모양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산림작업 시 준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전문 벌목용 기계톱에서 본체의 일반적인 수명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후